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순환하는 양의 20%다. 몸 전체가 사용하는 산소의 20%를 쓴다는 뜻이다. 또 뇌는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내는 탄수화물(포도당)만 사용하는데, 뇌 주름에 혈관이 오밀조밀 뻗어 있는 덕분에 효율적으로 포도당을 공급받을 수 있다.뇌 주름은 정보를 교환하는 효율도 높인다. 뇌세포는 서로 정보를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진다. 주변에 고리띠라고 부르는 고리모양의 융기가 있다. 꼬불꼬불하고 홍채 중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이다. 또 홍채가 끝나고 모양체와 만나는 경계(대홍채륜) 바깥에는 동심원성 주름이 있다. 이런 주름들은 홍채가 팽창 수축할 때마다 모양이 변한다. 마치 커튼을 치고 걷을 때 주름이 생기는 것과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박사가 입구에서 기자를 맞았다. 이 연구원은 “지금쯤 사람들이 모여있을 것”이라며
가장
먼저 꼭대기 층으로 안내했다. 탁 트여 연구소 주변 경치가 내려다보이는 연구소의 ‘로얄층’은 다름 아닌 식당이었다. 8월 초라 휴가를 떠난 사람이 많았지만, 꽤 많은 연구원들이 삼삼오오 둘러앉아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순간을 향해 간다. 격렬한 충격의 여운은 중력파로 우주 구석구석에 전해진다.#2지구 위
가장
큰 인공 건축물, 아랍에미리트의 부르즈 할리파. 이 건물이 지어지면서 두바이는 크게 변했다. 길이 바뀌고 도시도 변했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 변화도 있다. 다니던 길이 막힌 바람은 건물 주변에 작은 ... ...
Part 3. 바퀴 열차의 한계를 넘어라! 자기부상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어요. 이론적으로 비행기의 속도인 시속 900km까지 달릴 수 있지요.현재 운행되고 있는
가장
빠른 열차도 자기부상열차예요. 중국 상하이에는 독일이 만든 자기부상열차 ‘트랜스래피드’가 최고시속 450km로 운행되고 있지요. 최고시속 603km를 기록한 일본의 리니어 츄오 신칸센도 ... ...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단층면을 따라 약해진 부분부터 차례로 깨져나가며 M6.5의 규모로 땅을 흔들었어요.
가장
강하게 흔들린 마시키마치에서는 집이 무너지고 다리가 끊어졌지요. 하지만 아직 땅 아래의 힘이 모두 배출된 건 아니었어요. 사람들이 모두 잠든 16일 새벽 1시, 히나구 단층대와 나란히 붙어 있던 후타가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우리의 삶을 더욱 아름답고 행복하게 만들어 주지요.”원더랩에서 연구를 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묻는 조현규 기자의 질문에 교수님은 창의력이라고 말씀하셨어요.“즐거움은 사람들이 해 보지 못한 체험을 할 때 나오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만드는 창의력은 굉장히 중요해요. 생활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좋은 수학자가 될 수 없다.장승욱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연구원은 “혼자만 아는 것은
가장
안 좋은 공부 방법”이라며, “수학자가 꿈이라면 수다쟁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아무도 풀지 못한 문제를 풀려면 서로의 지식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데, 지식을 나누는 데 익숙지 않으면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정보가 아닌 다른 수업에서도 SW를 활용한다. 이런 융합 교육은 과학 수업에서
가장
활발하다. 조 교사는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 중에서 SW로 구현 가능한 것을 찾아 만들어 본다”고 수업 방식을 설명했다. 그렇게 만든 게 태양 에너지 측정기다. 태양의 고도는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가 받는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발생했다.하지만 국민의 상당수가 긴급재난문자를 받지 못했다. 현재로써 그나마
가장
믿을 만한 것은 미소 지진이다. 거대한 단층면이 한꺼번에 쪼개지기 전에, 단층면의 일부분이 응력을 견디지 못해 흔들리는 현상(미소 지진)을 포착하는 것이다. 미소 지진을 관측해서 강진을 예측하는 방법은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