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픽워드 프로세서 첫 시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글과 그림을 동시에 처리하고 DTP(탁상용출판)시장에도 도전한다.워드프로세서는 누구나 한번쯤 사용해 본 소프트웨어로 컴퓨터 문외한을 포함해 엄청난 잠재고객층을 갖고 있 ... 이와 함께 92년 초에는 컬러지원 XMS(연장메모리) 지원 등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2.
0
버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반도체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애치슨 박사는 지난 여름 미국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의 전자광학센터에서 이 소자가 1
0
ps의 속도로 투사된 빛과 같은 시간대에 작동되는 것을 실현해 보인 바 있다. 그는 앞으로 연구가 좀더 진행된다면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며, 종국에 가서는 1fs(femto second, 1${
0
}^{-12}$초)까지 도달할 것으로 ... ...
벌레를 잡아먹는 야생화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보르네오섬의 연강수량은 3천8백mm에 달하며 연평균기온은 25.7℃다. 연교차(年較差)는
0
.8℃에 불과해 1년 내내 고온다습한 기후를 이룬다. 특히 중앙산지와 남부 사이에는 광활한 습지가 형성돼 있다. 이들 습지에서 자라는 몇가지 특색있는 식물을 소개한다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개발되면 산업계의 이전되기 전까지 여러 단계의 타당성 실험을 거치게 된다. 대개 1
0
년 이상이 걸려야 비로소 확실하게 빛을 보게 되는 것이다.최근 거의 모든 신소재는 자동차와 항공기를 겨냥하고 있다. 특히 신소재의 집합장이라고 불리는 항공기의 소재로 채택되기 위해 수많은 재료들이 치열한 ... ...
8
0
억달러 규모 초전도 가속기계획에 일본 참여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미국측의 면면을 보면 슈비터즈 SSC연구소장, 79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와인버그교수, 9
0
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프리드만 MIT교수, 에너지부 에너지연구국장으로 자리를 옮긴 하퍼 전 프린스턴대 교수 등 호화진용.먼저 주최측을 대표해 말머리를 꺼낸 나카지마(中嶋貞雄)도카이대 교수는 지난해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겹치지 않게 하려면 그 이상의 시간을 간격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 보통은 5분~1
0
분정도로 한다. 5분간격으로 한다면 대각선 방향으로 무려 62개의 달을 촬영할 수 있다. 노출은 식전에는 만월에 준해 노출을 주지만 식이 일어나면서부터는 점차로 밝기가 감소하므로 그만큼 보정해서 노출을 더 줄 ... ...
패키지화 정품유통 경향 두드러져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몇종류 나와 있다. 공개소프트웨어인 델타는 통신을 통하여 보급됐고 자료관리 2.
0
등은 상업용으로 판매되고 있다.스프레드시트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로터스가 여전히 강세를 보였는데 이를 한글화한 로터스버전 2.2K가 발표됐다. 그리고 로터스의 아성을 깨고자 등장했던 퀴트로 프로도 한글화돼 ... ...
한국형 DBMS로 자리 굳혀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항목의 수치값을 더하거나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유용한 형태로 바꾸어 준다.자료관리 2.
0
은 데이터베이스뿐 아니라 자체 워드프로세서를 연계시켜 효과적인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게 했다. 기존의 워드프로세서만큼 워지위그가 충실하게 구현되지는 않지만 보고서 작성에 꼭 필요한 선그리기 기능, ... ...
저녁 놀 빛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오늘날 공장지역의 매연에서 분출돼 나오는 분진알갱이들은 지름이
0
.
0
1μm에서 1
0
μm에 이르는 것까지, 과거와는 비교가 안될만큼 커진 것이다.한편 레일라이가 빛의 파장과 산란정도가 반비례하는 것을 밝힌데 이어 19
0
8년에 구스타프 미(Mie)이라는 학자는 빛의 산란과 대기중의 입자 크기의 관계에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가장 밝고 풍부한 유성우 중의 하나이다. 그 극대일은 12월 13,14일경이며 한시간에 대략 6
0
개 남짓한 유성이 카스토르 근처에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유성군은 관측이 아주 유리한데 그것은 이 유성군의 복사점을 온 밤을 통해 쉽게 관측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 유성군의 유성들은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