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703건 검색되었습니다.
“출연연 비정규직 인력 전환, 일반 공기업처럼 대해선 안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8
하는 사람이나 과학전문연구가 등이 섞여있으며, 심지어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곳
도 많다”며 “인력 정체성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없이 무작정 정부 기조에 따라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바꾸면 문제만 키우는 꼴”이라고 말했다. 또 권교수는 2017년 5~6월 사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과제로 ... ...
무서운 동네의 여성 필수품?
팝뉴스
l
2018.07.18
제공 왼쪽은 평범한 여성의 사진이다. 집에서 멀지 않은
곳
에 잠깐 나온 것 같다. 어쩌면 학교 다녀오는 대학생의 모습일 수도 있겠다. 평화롭고 일상적인 분위기다. 그런데 오른쪽 사진을 보면 다르다. 무섭고 긴장감을 일으킨다. 총을 하나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접근하는 것은 물론 옆에 서 ... ...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
과학동아
l
2018.07.18
설계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개발한 암 진단 센서 22개의 염기서열 중 단 한
곳
만 다른 miRNA도 구분해낼 만큼 정확하다. 이 책임연구원은 “질병 진단뿐 아니라 miRNA의 양을 추적해 약물 투여 전과 후의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doi:10.1016/j.bios.2018.04.033 권예슬 ... ...
[과학동아 천문대장의 별별 이야기] 15년 만의 설레는 만남, 7월 화성대접근!
과학동아천문대
l
2018.07.17
제공 15년 만에 지구와 화성 최근접 오는 31일 화성은 지구에서 5759만km 떨어진
곳
까지 접근합니다. 지난 2016년 5월 접근 때는 7528만km까지 왔었는데요, 당시에 비하면 이번엔 화성이 훨씬 지구에 가까이 다가오는 셈입니다. 가장 최근 대접근이었던 2003년 5575만km까지 가까와진 것과 견줄 만한 ... ...
유전자가위 오작동 우려?...“크리스퍼는 과대평가됐다” 영국 연구팀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7.17
떨어진 부분에서 이 같은 오류가 나타났다. 표적 염기쌍에서 상당히 떨어진 부위
곳곳
에서 크리스퍼-캐스9으로 인한 예기치 못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것이다. 코식키 박사는 “쥐와 사람 모두에서 표적 염기쌍에서 수 천개의 염기쌍만큼 떨어진 유전자 부위에서 문제가 나타났다”며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더위탈출! 강력한 물총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6
곳
에 있던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며 압력이 낮아져요.한편, 물은 압력이 높은
곳
에서 낮은
곳
으로 흐르지요. 따라서 병 속의 물은 긴 빨대를 따라 위로 빨려 올라와요. 이 물은 짧은 빨대에서 나오는 입바람에 의해 부서져 작은 물방울로 흩어진답니다. 강력한 물총을 만드는데 성공한 섭섭박사님 - ... ...
평범한 실이 아닙니다. 압력감지 센서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6
차례 있었다. 감열(感熱)이나 감압 등 다양한 센서를 옷감 형태로 만드는 연구도 여러
곳
에서 진행 중이다. 하지만 센서와 전극을 통합해 실제로 동작할 수 있는 감압섬유를 개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옷감을 센서로 만들기 위해 두 종류의 특수 실을 먼저 개발했다. 섬유의 위아래 ... ...
[표지로 읽는 과학] 열대 바다 산호초와 바다새, 쥐...그들의 삼각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18.07.16
돕는데, 쥐가 없는 섬 근처에선 쥐가 있는 섬에 비해 이런 활동이 3배 이상 많았다. 이런
곳
에선 어류 전체 생물량도 48% 늘었다. 결국 열대 산호초를 보호하려면 쥐를 없애 새에 의한 생태의 선순환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자연의 모든 것은 서로 연결돼 있다는 새삼스러운 ... ...
[짬짜면 과학 교실] 하늘에서 열린 풍물 놀이마당: 지구와 달의 운동
2018.07.14
되어요. 반면에 그 반대편에서 태양 빛을 받지 못하는 지구 절반은 밤이 되어요. 밤이 된
곳
들은 태양을 등지고 있기에 그동안은 태양을 볼 수 없는 거예요. 별들이 밤에만 보이는 이유는 태양 빛 때문이에요. 낮 동안에도 별들은 하늘에 떠 있지만 태양 빛이 워낙 강해서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 ...
멸종위기 흰발농게, 새집으로 이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4
갯벌 조간대 위쪽에 살고 있다.이 지역은 사람들의 출입이 잦으며 개발 압력이 높은
곳
이다. 사람이 오고 가거나 콘크리트 같은 구조물이 생기면 이들의 보금자리는 금세 유실돼 버린다. 이로 인해 서식지가 군데군데 조각처럼 나뉘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서식지를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