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631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발사 센 바람 때문에 하루 연기…"이송제한 기준엔 못미치지만 안전 위해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발사체조립동에서 발사대 이송용 차량 작업 중인 누리호의 모습이다.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제공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두번째 발사가 15일에서 16일로 하루 연기됐다. 누리호가 발사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초속 10m 이상 바람이 불어 발사대 기술진의 안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는 ... ...
누리호 2차 발사 기상 탓으로 16일로 하루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꼽혀왔다. 14일 오전 나로우주센터 일대에 비 예보가 내려져 있다. 장영순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발사체체계개발부장은 10일 누리호 2차 발사 설명회에서 "비가 계속 오거나 노면이 젖으면 이송 차량이 비탈길을 못 올라가고 미끄러질 위험이 있다”며 “누워있는 상태에서 1시간 이송하고 이후에 ... ...
6월 엔지니어상에 전성철·최수영 씨…상반기 여성 엔지니어상에 이형의·조영은·김경희 씨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수 있는 평가기술을 개발했다. 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조 수석
연구원
은 “친환경 소재 개발을 통해 2050 탄소중립과 재생 에너지 확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경희 아쿠아셀 대표는 유해 화학약품 없이 소금물 전기분해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기를 개발했다. 기존 대비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위성은 신호를 받는데 실패했다. 랑데브는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이 주최한 ‘제4회 큐브위성 경연대회’에 입상하며 발사 기회를 얻었다. 연구팀은 세 번의 도전을 거쳐 다양한 초소형위성 핵심기술들을 확보해 나갔다. 랑데브는 상용 큐브위성 소프트웨어 대신 자체 ... ...
OLED 최적 소재 찾고 질병 유전변이도 분석하는 슈퍼컴퓨터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보고된 8만4295개의 유전자 변이를 GWSA로 계산해 도출한 결과다. 권오경 KISTI 책임
연구원
은 “유의미한 유전자 변이 발견은 농축산 분야와 첨단 바이오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슈퍼컴퓨터의 분석으로 데이터 오류 보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 ...
수소 대규모 운반기술 상용화할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안정적이며 장시간 사용해도 촉매 성능이 유지된다”고 설명했다. 손현태 선임
연구원
은 “기존 LOHC의 공정의 가장 큰 문제였던 부산물의 양을 줄여 반복적인 추출 공정이 가능해졌다”며 “제작 중인 대용량급 LOHC 수소 저장 추출 시스템 시제품에 바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 ...
전기 10배 잘 통하는 열전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김보미
연구원
(제1저자)와 김봉수 교수(우측).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 소재 대비 전기가 10배 잘 통하는 열전소재를 개발했다. 열전 소재는 열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친환경에너지 기술인 열전발전에 쓰이는 소재다. 연구진이 개발한 소재는 필름처럼 얇게 프린트할 수 있어 ... ...
화재 난 곳에 물 조준 분사해 초기 확산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충남대, 수퍼센츄리, 육군사관학교가 연구에 참여했다. 정정훈 책임
연구원
은 “향후 군수 분야와 차량운반선, 화물선, 여객선, 해양플랜트, 초고층아파트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부고] 명성호 한국전기
연구원
원장 본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6.11
◇명성호 한국전기
연구원
원장 별세=고려대 안암병원 장례식장 303호, 발인 13일 오전 8시 30분. 장지 성남 영생원 070-7816-0229 ...
[표지로 읽는 과학]아마존 우림 아래 감춰진 고대도시, 모습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1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에서 빽빽한 초목을 제거해 지표면 지도를 생성했다. 프뤼머스
연구원
은 “이 기술이 나무가 우거진 열대우림에서도 효과적이라는 걸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무덤 주변 200㎢ 지역을 관측한 결과 두 개의 큰 부지가 모습을 드러냈다. 하나는 315헥타르(3.15㎢)로 서울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