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657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리협정 충실히 지켜도 2100년까지 빙하 절반 녹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제한하자는 파리협정 시나리오에서도 2100년까지 빙하의 49%가 사라진다는 결론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1월 5일(현지시간)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년간 위성으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그린란드와 남극 대륙을 제외한 전 세계 21만5000개의 빙하를 분석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상승 ... ...
"코로나19 완치 남성 면역체계, 원상복귀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교수는 코로나19 감염 후 성별에 따라 면역체계에 일어난 변화를 밝힌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창 교수는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에 근무하면서 연구팀과 함께 코로나19 감염력이 있는 참가자 33명과 감염력이 없는 참가자 40명의 면역반응을 비교 ... ...
“술 안먹어도 지방간 있는 환자, 심혈관질환 위험도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비만 환자와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임상위장병학 및 간장학 저널‘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6일 밝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을 가진 근감소성 비만 환자란 술을 전혀 안 마시거나 소량을 마실 뿐인데도 지방간이 있으면서 근육량과 근력, ... ...
의약품·화장품 있게 한 '토끼'...대체 '오가노이드' 연구 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는 애완동물로도 사랑받는다. 미국 노트르담대 연구팀은 2010년 국제
학술
지 ‘미국 정신교정학 저널’에 “애완용 토끼는 성인의 정신건강은 물론 아동발달에도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 ...
부상·질환으로 손상된 성기능 회복 '인공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인공 피부를 개발해 손상된 성기에서 발기 기능을 회복키는 데 성공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셀'의 자매지인 '매터'에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학계에 따르면 40세에서 70세 남성 중 절반 가량은 상해나 인체 조직과 관련된 질환으로 발기부전을 경험한다. 이 중 5%는 음경 내부에 생긴 결절이 ... ...
종양을 유전자 교정해 암 사멸 유도...새로운 항암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유도하는 살아있는 종양세포를 활용한 암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중개의학'에 4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암이 무서운 이유는 정상세포를 공격하며 끊임없이 증식하기 때문이다. 특히 가장 흔한 악성 뇌종양 신경교종의 대표적 유형인 '교모세포종'은 수술과 ... ...
은하 사이 '떠돌이별' 기원 종지부..."암흑물질 추적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성공한 것이다. 지명국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5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현재 우주 나이의 3분의 1에 불과한 초기 은하단 10개에서 떠돌이별이 만들어내는 은하단내광을 ... ...
건강한 삶 위협하는 '빛공해' 영향 연구 본격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빛공해의 영향을 받고 있다. 성찬용 한밭대 도시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4월 국제
학술
지 ‘자연보존저널’에 "국내 22개 국립공원에 빛공해에 시달리고 있다”며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해선 국립공원 주변 조명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1년에 체중 20% 빼주는 약…환호와 우려 엇갈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비만 치료를 위해 체중을 크게 줄이는 약물들이 본격적인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최근 시장 진출 속도를 내고 있는 체중 감소 약물을 4일(현지시간) 집중 조명했다. 체중을 줄이는 약물은 혈당수치를 조절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를 활용한다. 이 ... ...
현대 과학 논문 '파괴적 혁신'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20세기에 비해 21세기에 들어 논문의 파괴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감소했다는 사실을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월 4일(현지시간)자에 발표했다. 이런 경향성은 1976~2010년까지 출원된 특허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연구의 혁신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파괴성(disruptiveness)'을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