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때"(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지식IN] ① 한달 빨리 온 독감...기말고사 기간 교실엔 빈자리 곳곳동아사이언스 l2016.12.14
- 지식IN] ②독감 예방주사, 지금이라도 맞을까요? ※취재팀주 예년보다 빠른 독감때문에 난리입니다만. 사람들에게 빠르게 알려져야 할 독감 정보들이 다른 이슈에 묻혀 전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에서는 3회에 걸쳐 반드시 알아야하는 독감에 대한 지식을 전해드립니다. 추운 날씨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2016.12.13
- 추천해 상을 받게 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199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를 결정할 때 위원회는 게임이론 연구자 가운데(노이만과 모르겐슈테른의 위대한 논문 발표 50주년을 맞아 이 분야로 정한 상태였다) 고민을 하다 섀플리를 떨어뜨리고 내쉬를 선택했다고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촛불시위 승리 원동력은? ‘분노’ vs ‘자부심’?2016.12.13
- 때 이후 그 일을 더 열심히 하게 된다는 것이다. 개인적인 성취에서도 자부심을 느낄 때 더 많은 것을 투자하게 되듯 집단 행동에서도 비슷하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생각이다. ‘분노’ 역시 동력이 되지만 화의 문제는 정신적, 육체적 소모가 크다는 것이다. 화르륵 하고 몇 번 타오르는 것은 좋으나 ... ...
- 그린란드 빙하, 완전히 녹아 사라졌던 시기 존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6.12.11
- 사우디에는 유독 DNA로 인한 유전 질환이 많고, 이는 사우디 사람들이 착용하는 전통의상 때문이라는 가설을 소개했다. 한 부부가 얻은 첫 딸이 제대로 앉지도 못하고 울지도 않아 한 병원에 방문했다. 의사는 ‘산소가 부족해 뇌 손상을 일으켰다’고 진단했다. 부부의 둘째 아이는 건강했지만,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자기비하 그만! ‘#너그러워지기’2016.12.06
- 것이다. 세 번째는 마음챙김(mindfulness)이다. 자신이 고통받고 있다는 사실을 느꼈을 때 이를 열린 마음으로 감지하고 있는 그대로 느끼되 그 고통을 ‘과장’하지 않는 것이다. 부정적인 감정에만 주의가 휩쓸려가지 않게 ‘균형잡힌’ 시각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하루 아침에 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Dreamless)’다. 이 변이체의 뇌파를 검사한 결과 렘수면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꿈꾸는 시간도 반토막이 났을 것이지만 꿈을 아예 꾸지 않는 건 아님에도 극적 효과를 위해 이런 이름을 붙인 듯하다. 반면 비렘수면은 정상 생쥐와 별 차이가 없었다. 게놈에서 변이가 일어난 ... ...
-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2016.11.30
-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백인 관련 단어 후에 긍정적인 단어가 나타났을 때 'H 버튼'을 제일 잽싸게 눌렀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추가로 한 두 개의 실험에서도 역시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연구자들은 사람들은 자신의 사회적 위치가 위협당한다고 느끼게 되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활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발에 땀이 나는 건 박테리아의 입장에서 밥을 먹을 때 목이 막히지 말라고 물을 갖다 주는 셈이다. 상황(맥락)에 따라 냄새 지각은 크게 흔들리지만 비강의 후각수용체는 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2016.11.23
- 다른 교세포와는 태생이 다르다. 즉 신경계의 세포가 아니라 면역계의 세포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경우 임신 한 달 무렵 뇌가 되는 부분으로 들어간 원시 대식세포가 분화해 미세아교세포가 된다. 즉 미세아교세포는 뇌에 침투한 병원체나 뇌세포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특화된, ... ...
- 사이코패스가 리더가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2016.11.22
- 될 확률보다는 더 많은 비리와 부정부패를 마구 저지를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이 때문이라도 리더의 자리에 아무나 앉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 참고문헌 Lilienfeld, S. O., Waldman, I. D., Landfield, K., Watts, A. L., Rubenzer, S., & Faschingbauer, T. R. (2012). Fearless dominance and the US presidency: implications of psychopathic ... ...
이전5075085095105115125135145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