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 위성 타이탄은 에너지 '노다지'?
과학동아
l
200803
여기에서 수백
개
의 메탄 호수를 발견한 것. 연구팀은 이 가운데 적어도 수십
개
의 호수에 각각 지구 전체에 저장된 양과 맞먹는 탄화수소가 액체 형태로 존재한다고 추측하고 있다. 메탄은 지구에서 기체로 존재하지만 평균 기온이 영하 180℃인 타이탄에서는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로렌츠 박사는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03
발생하며 구름에서 낙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구름이 없는 하늘에서 낙하하는 수도 있다
개
기일식이 끝나고 광구(光球)의 일부분이 달 주변에서 벗어나는 순간 밝은 광구가 채층(彩層)과 내부 코로나의 둥근 테에서 번쩍거려 다이아몬드처럼 보이는 현상 끝에 다이아몬드가 박힌 케이싱(casing ; ... ...
소프트웨어, 데이터백업 사라지는 클라우드 컴퓨팅
과학동아
l
200803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미 미래가 아닌 현실이다. 신클라이언트 기술만 표준화되면 굳이
개
인 단말기를 살 필요도 없다. TV에 직접 키보드와 마우스만 무선으로 연결해 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다 ... ...
돔구장은 홈런공장?
과학동아
l
200803
홈런을 무시한 것이다. 실제로 이승엽은 2006년 41
개
의 홈런 중 22
개
, 2007년 30
개
중 18
개
를 도쿄돔에서 쳤다. 50%가 넘는 높은 비율이다.‘승짱’(이승엽 선수의 일본 내 애칭)이 정말 돔구장 덕에 홈런을 쳤을까?바람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티이솔루션의 김윤석 박사에 따르면 돔구장에는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03
최근 피 한 방울로 심장병을 진단할 수 있는 키트를
개
발한 벤처기업 나노앤텍의 박성하
개
발팀장은 “혈장 내에는 심장병 표지자, 암 표지자, 호르몬,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들지만 마약 물질까지 떠돌아다닌다”며 “이들 물질의 농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측정하면 몸 ... ...
무설탕도 지나치면 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연구팀이 관찰해 본 결과 하루에 최고 12번씩 설사를 한 환자는 무설탕 껌을 매일 15
개
나 씹었다고 해요. 연구팀은 설탕이 안 들어간 간식이라고 무조건 많이 먹어도 되는 것은 아니라고 경고하고 있답니다 ... ...
“찰칵!”메신저가 보내온 수성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근접비행을 하며 사진을 찍었어요. 처음으로 공
개
된 수성의 표면에선 크고 작은 여러
개
의 분화구들을 볼 수 있는데, 큰 분화구는 지름이 274m나 된다고 해요. 이 사진들은 400만 년 넘는 시간 동안 수성의 표면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연구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 ...
“내 안에 우주 있다” 남극에서 운석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우리나라에서 남극에 파견한 제2차 운석탐사대가 13
개
의 운석을 발견했어요. 2007년 12월 24일 서남극 티엘 산맥 근처에서 3㎏짜리 대형 운석을 발견한 것을 시작으로, ... 보물창고로 알려져 있지요. 우리나라는 지난 해1월에 찾은 5
개
와 이번 13
개
를 더해 모두 18
개
의 운석을 갖게 되었답니다 ... ...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 북한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지구는 지각이라고 불리는 암석 껍데기로 둘러싸여 있어요. 지각 밑의 땅 속 깊은 곳에는 마그마라고 불리는 암석이 녹은 뜨거운 액체가 있지요. 마그마는 지각의 약한 틈 ... 그래서 북한산을 삼각산이라고도 해요. 북한산의 화강암들은 지금도 비바람에 깎이고 쪼
개
져 부서지고 있어요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발전을 우리에게 안겨 준다. 어느 쥐가 더 대단한지는 여러분들의 선택! 이제 그의 소
개
가 모두 끝났다.‘어린이과학동아’가 마련한 4편의 특집 영화를 통해 쥐에 대해서 더욱 잘 알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제는‘어린이과학동아’여러분들의 차례다! ‘어린이과학동아’홈페이지에 들어와 기사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