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로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생물들이 사는지, 최근 스코틀랜드의 침입종으로 밝혀진 곱사연어가 네스호에도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답니다.Q앞으로의 계획은 뭔가요?네스호의 괴물을 찾는 프로젝트와 어울리도록 팀 이름을 ‘수퍼 내추럴 히스토리’로 지었어요. 우리 팀엔 생물학자들뿐만 아니라 고고학이나 진화를 연구하는 ...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말해요. 수심이 얕아 낮과 밤의 온도 변화가 심하지요. 육지에서 생활하수나 공업용수등으로 오염된 물이 들어와 쉽게 오염되는 지역이기도 해요. 명 연구원은 “조간대는 환경 변화가 심해 물고기가 살기 어렵다”며, “별망둑은 여기서도 잘 사는 생존력이 강한 물고기”라고 말했답니다.탐사가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올 가을도 스치듯 안녕! 벌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흰색부터 진한 초콜릿색까지 개체마다 다양해요. 우리나라에서 벌매는 도로나 철도 등으로 서식지가 나뉘는 ‘서식지 단편화’가 심각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답니다 ... ...
- [화보]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의 하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수 있으니 피하세요. 대신 사진을 비틀거나 자르고, 바닥을 캔버스 삼아 소품을 놓는 등의 방법을 활용해 여러분의 상상을 사진으로 만들어 보세요. 또 이미 찍은 사진 위에 무언가를 올려 다시 사진을 찍는 방법도 있고요. 다양한 방법으로 재미있게 놀며 여러분의 상상을 표현해 보세요 ... ...
- 먹고 사는 일도 과학이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찾는 거지요. 연구팀은 1999~2013년 스위스에 온 난민의 특징과 머문 지역, 취업 성공 여부 등을 학습 자료로 사용했어요.인공지능이 추천한 대로 난민을 배치해 취업률을 계산한 결과, 기존보다 73%나 올릴 수 있었어요. 난민의 취업률이 높아지면 경제가 활성화될 거라 생각한 스위스는 가을부터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시드볼트에 저장된 종자를 반출하는 건 그 종이 멸종했을 때, 자생지가 파괴됐을 때 등과 같은 특수한 상황뿐”이라고 설명했어요.“영하 20°C에서 발아하는 식물은 없나요?” 시드볼트를 둘러본 임브르 팀의 임재우 대원(서울 명덕초 1)의 질문에 이하얀 팀장은 “영하 20°C에서도 종자가 발아할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텐데 많은 분들이 호의를 베풀어 주셔서 감동도 받았지요. 음료수, 감자샐러드, 쑥개떡 등 주민분들께 얻어먹은 음식만 해도 셀 수 없답니다. 이렇게 사람과 함께 사는 제비 연구를 쭉 하다 보니 사람과 만나는 것이 즐거워지고, 성격도 더 밝아졌어요. 한마디로 제비 덕 좀 본 거죠!” 하지만 낯선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볼테르, 디드로, 아담 스미스 등 18세기의 학자들뿐만 아니라 마흐, 제임스, 헬름홀츠 등 19세기 학자들 사이에 큰 논란이 된 질문이에요. 이 질문은 오직 경험을 통해서만 지식을 습득하고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경험주의자’와 이성에 의해 지식을 습득하고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고 ... ...
- [특별기고]목숨을 건 체험기...아마존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계획을 세워 대상 지역을 정하고, 최대한 숲에 큰 위해가 가지 않도록 조사 횟수나 기간 등을 조절한다. 또, 채집한 동물들은 다음날 동정과 측정을 마친 뒤 채집했던 지역에 방생한다. 이런 연구의 목적은 종 다양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어떤 종이 어느 지역에, 언제 나타나는지 기록해 동물의 출현 ... ...
- 21세기 아인슈타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개발도상국의 과학 발전을 지원하는 세계과학아카데미(TWAS)는 영국과 미국, 독일 등의 기금 단체와 이들을 돕고 있어요. 인류의 과학 발전을 도울 뿐 아니라, 무너진 출신국을 재건하는 데도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 ●에드워드 렘피넨(TWAS 공보관) 인터뷰“아인슈타인도 난민이었어요 ... ...
이전508509510511512513514515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