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사는데, 색이 주변과 똑같기 때문에 천적이 이 바다 민달팽이를 찾기 매우 어려워요. 우리 눈에는 보석처럼 예쁜 초록색이 아주 훌륭한 위장색인 셈이지요. 게다가 겉모습만 초록색이 아니에요. 실제로 먹이가 부족할 때는 식물처럼 광합성을 해서 영양분을 보충하지요.최근 바다 민달팽이가 어떻게 ... ...
- 까치가 현대사회에서도 살아남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불어도 까치의 새끼는 안전한 둥지 안에서 자랄 수 있지요. 2003년 슈퍼태풍 매미가 우리나라를 휩쓸고 지나가 건물이 무너졌을 때도 까치둥지는 끄떡없었답니다.흑백 무늬는 흉폭함의 상징까치가 현대사회에서도 잘 적응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흉폭함’이에요. 까치를 보면 검은 바탕에 날개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글자가 다르다. 한글이나 알파벳뿐 아니라 숫자와 수학기호도 점자로 나타낼 수 있다. 우리가 교과서를 눈으로 읽듯이 시각장애 학생들은 손가락 끝으로 훑으면서 읽는다.학생들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이나 계산하는 과정을 점자정보단말기인 ‘한소네’로 적기도 한다. 자판 여섯 개를 두드리면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냉동재료가 보급되자 언제 어디서나 쌍둥이 같은 햄버거가 만들어졌습니다.세상은 우리에게 항상 빨라야 한다고 속삭입니다. 멈춰 있으면 남들은 앞서가고, 너는 뒤쳐진다고 짐짓 협박을 하기도 하죠. 느긋하고 싶다가도 이런 소리를 들으면 겁부터 나고 스스로가 게으르게만 보입니다. 어느 ... ...
- [생활] 인천 동산중 안정덕 선생님 수학, 글쓰기로 키운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운동장에 가득했다. 추위에 몸을 잔뜩 웅크렸던 기자는 왠지 모를 기운을 받으며 ‘우리들의 수학쌤’ 안정덕 선생님을 만나러 교무실로 향했다.누구나 수학을 느낄 수 있다“특별한 건 없어요.”겸손한 말과 달리 선생님의 책상부터 예사롭지 않았다. 학생들이 손수 연필과 나무젓가락으로 만든 ... ...
- [재미] 차가운 숫자가 말해주는 사랑의 조건 無조건, 자신감, 솔직함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그럼 이제 딱 12명 정도가 남네요. 드레이크 박사가 인류가 1만 년 안에 만날 수있는 우리와 비슷한 수준의 문명을 가진 외계행성이 10개 정도 있다고 했으니, 닥터 쿨님도 너무 실망만 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하하…. 다음 사연으로 넘어가죠. 이번 사연은 이름을 밝히지 말아달라고 하셨어요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가장 잘 알고 있고, 가장 잘 할 수 있는 게 뭔지 생각했죠. 딜이더라고요.우주여행도 우리가 포장하면 진짜처럼 만들 수 있을 것 같았어요. 그리고 우주여행 자체도 아주 허무맹랑한 생각만은 아니잖아요?”그는 구글의 만우절 이벤트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했다. 구글은 매년 만우절마다 기가 막힌 ... ...
- [과학뉴스] ‘아리랑 3A호’ 26일 러시아에서 발사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최초로 적외선 관측이 가능한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A호’가 우리 시간으로 3월 26일 오전 7시 8분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드네르프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아리랑 3A호의 발사 준비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6년부터 8년간 개발한 ... ...
- [Hot Issue] 빅데이터로 본 봄나들이 전략 “우리 놀러가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Tip 1 불금보다는 불토 일단 ‘불금’을 과감히 포기하길 바란다. 국토연구원이 SK텔레콤 스마트폰 사용자 빅데이터(2013년 11월 기준) 1억5000만 개를 활용해 *활동지수를 분석한 결과, 금요일은 활동지수가 일주일 중 가장 높다. 활동지수가 특히 높은 시간대는 오후 3시부터 새벽 5시까지(오후 5시가 피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발견됐는데, 모양이 특이했다(60쪽). 우선 현대인의 ‘턱’에 해당하는 부분이 없었다. 우리 인류의 입술 바로 아래를 만져보면 움푹 들어가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턱이다. 턱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보다 원시적인 종으로 갈수록 사라지는데(둥글납작함), 이 화석도 턱 부분이 둥글고 납작해 ... ...
이전508509510511512513514515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