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중반, 벨기에 의사인 장밥티스타 헬몬트는 식물이 정말 흙에서만 모든 영양분을 얻는지
알
아보기 위해 실험을 해 보았다. 2.25kg의 작은 수양버들을 흙 90g이 든 화분에 키우면서 물 이외에는 아무 것도 주지 않았다. 5년 후 나무는 76.8kg으로 자랐는데 흙은 불과 30g밖에 줄지 않았다. 따라서 헬몬트는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돌출된 염기를 아미노퓨린(aminopurine) 같은 형광 염기로 바꾸면 구조 변화를 빛으로
알
려 주는 스위치로 이용할 수 있어 나노센서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네가티브 슈퍼코일링(negative supercoiling)차곡차곡 염기결합을 하고 있는 DNA가 RNA를 만들기 위해 이중나선을 푼다. 이 때문에 DNA의 다른 ... ...
2. "열려라 주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다른 투자자의 행동에 영향을 줘서 전체 결과를 바꾼다. 어떤 입자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것처럼 주식시장에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투자기술은 없는 것일까.멱급수법칙고전 경제학은 주가 변화를 종 모양의 정규 분포로 해석한다. 그러나 경제물리학은 멱급수 법칙으로 해석한다.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가능하니 아마 언어영역이 잘못된 것은 아닐 터다.뇌의 어느 지역이 무슨 일을 하는지
알
면 뇌의 각 부분이 서로 얼마나 기능을 나눠가질 수 있는지, 또는 병이 생긴 뇌가 얼마나 가소성을 발휘해 회복하는지, 신경세포로 분화시킨 줄기세포를 병든 부위에 넣어주면 뇌기능이 얼마나 회복 가능한지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안보이는 것이 아니라 태양빛이 너무 밝기 때문인 것이다. 우리는 경험으로 이 사실을 잘
알
고 있다. 그러나 별이 밝다면 혹시 낮에도 보일 수 있지 않을까?하늘에서 가장 밝은 금성은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금성 최대이각 무렵 태양에서 떨어진 위치를 미리 인지하고 그 지점을 주의해서 보면 ... ...
하늘을 향한 인류의 도전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역사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항공기 발달이 최근 수십년 동안에 모두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자동화된 항공기가 등장할 날도 머지 않은 듯 싶다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달리는 동안 그의 왼손에는 며칠째 소중히 지녀 온
알
약 하나가 들려 있었지만, 그는
알
아채지 못했다. 배명훈1978년 부산 출생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현재 동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2004년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주관 46회 대학문학상 단편부문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감수분열 때 교차를 일으키는 빈도 이를
알
면 염색체 위의 특정유전자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 끝 지문이 있는 부위끼리 맞닿게 하는 동작 엄지는 다른 네 손가락과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아래에 있는 두틈한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8년을 더 기다리기로 결심한다. 무려 8년 동안 그는 인도의 모든 기후와 각종 정보를
알
아내 철저하게 준비했다. 하늘의 도움인지 퐁디셰리가 다시 프랑스 땅으로 되돌아와 주변 사정마저 그를 돕는 듯했다. 만반의 준비를 다한 이번에는 실패할 확률이 전무했다.8년 동안에 걸친 그의 철저한 준비와 ... ...
지구를 누비는 죠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마리에 전자태그를 붙여 이동경로를 추적했다. 상어들은 북아메리카 대륙 서해안을 따라
알
래스카에서 멕시코 남부 해안까지 긴 거리를 이동했다. 콜로라도대 앤드류 마틴 교수는 “상어가 얼마나 대양을 잘 이용하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밝혔다. 그러나 스탠퍼드대 안드레 보스타니 교수는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