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거품 폭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전자를 내놓고 산소기체(O₂)로 된다.이러한 과정 중에 물에 녹아있는 수산화나트륨의
양
은 전혀 변하지 않는다. 건전지를 연결해 전압을 걸어주면 2개의 물분자가 2개의 수소분자와 1개의 산소 분자로 분해된다.이 때 (-)극과 (+)극에서 만들어진 수소 기체와 산소 기체는 필름통 뚜껑에 연결돼 있는 ... ...
소금물 위에 글씨 쓰기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극에서는 음이온인 염소이온(${Cl}^{-}$)이 끌려와 전자를 내놓고 염소기체(Cl₂)로 된다.
양
이온인 나트륨이온(${Na}^{+}$)과수소 이온(${H}^{+}$)은 (-)극으로 끌려오는데 나트륨 이온보다 훨씬 전자를 쉽게 받는 수소 이온이 전자를 얻어 수소기체로 발생한다.전기분해 결과 소금물 속에는 나트륨 이온(${Na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6. 의학물리학자 유돈식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정보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도 필요하다. 물리학과(고려대) 출신인 그가 다
양
한 분야의 책을 뒤적이고 사람을 만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X선 발견 1백년, X선 컴퓨터 단층촬영(CT) 30년, MRI가 등장한지는 15년이 됐다. 인류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과학기술에 가속도가 붙은 듯하다. 이 가속도에 ... ...
뇌과학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뇌연구의 전망을 더욱 밝게 한다”고 말한다.방대한
양
의 정보를 처리해 고차원의 정신활동을 하는 두뇌는 아직 인간이 정복하지 못한 미지의 연구 분야다. 뇌과학연구센터는 두뇌의 비밀을 풀어내 단기적으로 시각정보를 인식하는 망막센서와 청각정보를 인식하는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4. 환경공학자 황석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원예학, 화공학 등 다
양
하다. 다
양
한 대학원생들의 전공만큼이나 개성과 능력이 다
양
해 연구조건으로서는 그만이라고 설명한다.2번 출근하는 새내기학생들 입장에서 단시간 안에 가장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는 수업이라고 생각해 그에게 강의 준비는 그 무엇보다 우선한다. 이쯤 되면 학생들에게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엔트로피가 큰 상태를 좋아한다. 따라서 물 분자만이 통과할 수 있는 반투과성막의
양
편에 깨끗한 물과 오염된 물을 넣어두면 깨끗한 물이 오염된 물쪽으로 옮겨가는 현상이 나타난다. 바로 배추를 소금에 절일 때 사용되는 삼투현상이다.삼투현상을 거꾸로 이용하면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만들 수 ... ...
반도체혁명 일으킨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전자는 4개이다. 여기에 최외각전자가 5개인 비소를 불순물로 넣으면 1개의 전자가 남아
양
극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또 게르마늄에 최외각전자가 3개인 붕소를 불순물로 첨가하면 게르마늄의 최외각전자 1개에 대응하는 정공(hole)이 생겨 음극으로 움직인다. 자유로워진 전자와 정공이 부도체인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보던 사각형의 그림이 아니다. 그림이 휘어지기도 하고 꺾어지기도 하고 별의별 모
양
으로 만들어져 있다. 스텔라의 이런 그림을 세이프드 회화(Shaped Painting)라고 부른다. 스텔라는 왜 이러한 그림을 그렸을까? 사실 그의 그림은 그린 것이 아니다. 그의 그림은 전체가 하나의 물건이다. 그에게는 더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이외에 발견되지 않은 지구와 유사한 행성이 더 있을 가능성도 있다. 천문학자들은 태
양
과 비슷한 진화단계에 있는 항성 주변의 행성계의 발견을 계기로 우주 공간에 지구와 같은 환경이 생각보다 많이 존재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지금까지 20여개의 외계 행성이 확인된 것으로 볼 때 행성은 매우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희생
양
은 일본그러나 미국은 핵폭탄을 사용하겠다는 야심을 버리지 않았다. 아직 희생
양
으로 삼을 일본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1945년 5월 오펜하이머, 페르미, 로렌스, 콤프턴 등 4명의 과학자는 일본에 핵폭탄을 투여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였다. 이 자리에서 오펜하이머는 ‘배타적인 것은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