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뉴스
"
초
"(으)로 총 5,607건 검색되었습니다.
눈 깜박임 알아내 졸음운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9.05
c 상태가 400ms 이상이면 졸음으로, 800ms 이상이면 수면 상태로 정의했다. 그리고 카메라가 1
초
에 30번 촬영한다는 사실을 이용해 c 상태가 12번 이상 연속되면 졸음상태로 검출키로 한 것이다. 최 교수는 “이 졸음 검출방법은 적외선IR카메라를 이용했기 때문에 야간의 졸음운전 검출에 더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얻었다. 그는 “사람이 몰입을 하게 되면 뇌파의 대칭성이 높아지고 사물을 보고 약 0.3
초
뒤 그 기억과 관련된 뇌파가 발생한다”며 “실험 기준만 잘 만든다면 감동의 크기를 숫자로 나타내는 일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와정은 이번 주 연구원에서 열린 전시회 ‘아티언스 오픈 랩’에서 ... ...
[사이언스 브리핑] 기
초
과학연구원(IBS) 외
2014.09.05
인텔이 지원하는 ‘
초
고성능 컴퓨팅 활용기술 연구사업’에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1
초
에 100경 번 계산할 수 있는 ‘엑사급’ 슈퍼컴퓨터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인텔은 고성능 컴퓨터 활용기술 연구를 선정해 최대 2년 동안 연구비를 지원한다. 이번에 선정된 KISTI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는 ... ...
“사회적 합의 없는 교육과정 개정안은 무효”
2014.09.03
논의하는 자리를 가져야 한다”며 중재안을 내놨다. 민경찬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기
초
연구진흥협의회 위원장(연세대 교수)도 “각론에 들어가면 심각할 정도로 견해차가 크기 때문에 서로 논의할 것이 많은 만큼 서로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한 영역에 머물러 먹이를 두고 경쟁할 필요도 없다. 물론 메뚜기가 지나간 자리는
초
토화된다. 외국에서나 일어나는 일인 줄 알았던 메뚜기 떼의 등장이 우리나라에서도 관찰돼 많은 사람들이 놀랐을 것이다. 부디 내년에는 이런 일이 생기기 않아 메뚜기가 다시 수확의 계절을 상징하는 ... ...
전기 대신 열로 작동하는 차세대 메모리소자
2014.08.27
민병철 연구원은 “새로운 방식으로 작동하는
초
고속 메모리소자를 구현한 만큼 차세대
초
고속 메모리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0일자에 실렸다. ... ...
한국엔 에볼라 앰뷸런스가 없다
과학동아
l
2014.08.26
선교사 낸시 라이트볼이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미국 정부는 8월
초
‘에어 앰뷸런스’를 파견한다. 에어 앰뷸런스는 각종 의료기기가 설치돼 있는 ‘하늘 위의 구급차’다. 미국으로 돌아온 두 사람은 현재 신약 지맵(ZMapp)을 투여 받고 호전되고 있다. 수많은 아프리카 ... ...
의식 잃는 '압상스 간질' 원인 찾았다
2014.08.12
초
까지 의식을 잃을 수 있는 비경련성 발작질환인 ‘압상스 간질’을 치료할 수 있는 단
초
를 찾아냈다.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단장 신희섭)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세계수준연구센터 공동연구팀은 압상스 간질이 일어나는 과학적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압상스 간질 ... ...
[표지로 읽는 과학] 탄소나노튜브, 식물처럼 기른다
2014.08.10
정교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정보를 처리하는데 드는 에너지도 매우 적었다. 매
초
고화질의 동영상을 찍는데 63mW(밀리와트) 정도의 전력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컴퓨터로 사람의 뇌를 구현하는데 한 발 다가갔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
헉! 종이 로봇의 트랜스포머 3단 변신
2014.08.08
‘국제로봇자동화학회(ICRA)’에서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타이어 로봇의 지름은 5.5cm이며
초
속 30cm로 달릴 수 있다. 특히 타이어 로봇은 도로를 달리다가 계단을 만나면 바퀴를 부풀려 계단도 척척 통과한다. 조 교수는 바퀴 사이사이에 접어 뒀던 소재를 다시 펴지게 해 바퀴가 부풀도록 했다. 조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