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5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도 치매연구에 배고프다"...최고과학기술인상에 의사과학자 '고규영'
2023.07.02
유지와 녹내장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등 림프관 관련 연구에서 성과를 내놓았다. 고
교수
는 앞서 국제혈관생물학회(IVBM) 회장을 역임했으며 2015년 7월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 단장으로 선정돼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은 일문일답. Q. 수상 소감을 전한다면. “기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100일간 냉동시킨 장기, 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7.02
검사를 위해 안락사되기 전까지 약 한 달 동안 생존했다. 연구를 진행한 존 비숍
교수
는 "아직 인체 대상 임상 시험 단계가 남아있다"며 개발한 장기이식 기술을 통해 "생물학적 시간을 멈출 수 있다"고 말했다. ... ...
[주말N수학]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법만 400개...끊임없는 증명 도전 이유
수학동아
l
2023.07.01
이제껏 많이 나와서 독창적이진 않지만 증명 자체에는 오류가 없고 아주 깔끔해요." 허
교수
의 조언을 들은 강현승 씨와 최어진 씨는 “그동안 학술지에 증명을 심사해달라고 요청할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다”며 “미국 학생들처럼 논문으로 정리해서 심사를 요청해봐야겠다”고 포부를 ... ...
부정적 생각과 감정 되새기는 ‘반추’ 예측해 우울증 환자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IBS)은 우충완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부단장 연구팀이 토어 웨이거 미국 다트머스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뇌 활동 패턴을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측정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머신러닝을 활용해 반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뇌 연결 지도를 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 ...
[의학바이오게시판] 자궁 내막 두께 정상화하는 ‘하이드로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먹는 식단을 구성하는 변화를 꾀할 수 있다. ■ 주영수 용인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교수
, 박정탁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교수
, 임형택 메디웨일 최고의학책임자 연구팀은 망막 검사로 만성 콩팥병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6개월 이상 계속 신장 기능이 ... ...
[인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스쿨 대표
교수
최준석 ...
김일두 KAIST
교수
, ‘ACS 나노’ 수석 편집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원익, 가스트론 3개 기업으로부터 시리즈 A 투자를 이끌었다. 이번 선임과 관련해 김
교수
는 “세계적인 학술지 ACS 나노의 수석편집장으로 일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며 “센서 및 에너지 분야에 투고된 논문들에 대한 심사 활동을 통해 우리 대학의 위상을 높이고 KAIST 구성원들 뿐만 아니라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
교수
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유령 입자 '중성미자' 우리은하에서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나오코 쿠라하시 닐슨 필라델피아 드렉셀대 물리학과
교수
가 주도하고 14개국 350여 명의 과학자가 참여한 이번 관측 결과는 2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과학자들은 정교한 망원경을 통해 밤하늘을 관찰하고 있지만, 이는 전파부터 ... ...
첨단 전파망원경으로 태아별에서 행성 생성 시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ALMA를 사용해 우주를 연구하는 국제 프로젝트 'eDISK'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이
교수
와 권
교수
외 이창원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연구그룹장, 아소 유스케 한국천문연구원 등이 연구에 참여했다. eDISK 프로젝트에는 전세계 15개 연구기관 과학자 37명이 참여하고 있다. ALMA는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