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06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속도로 LPG 대폭발 ‘영상’
팝뉴스
l
2018.02.16
운반 차량이 사고를 냈고 도로 바닥에는 보이지 않았지만 가스가 자욱했다. 한 차량이 그
위
를 달리니, 저절로 점화되었다. 불길은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였다. 영상에서는 전혀 예상치 못한 순간 불길이 일어났다. 영화의 한 장면 같은 순간이다. 인명 피해가 있었는지는 확인지 되지 않았다. ... ...
윤성빈 스켈레톤 금메달 안겨준 DNA 맞춤 과학훈련법
과학동아
l
2018.02.16
조깅과 스트레칭을 한 뒤 찬물에 들어갔을 때 가장 피로 회복이 빨랐다. 민 선임연구
위
원은 “처음에는 피로 회복에 큰 신경을 쓰지 않던 선수들이 데이터를 보고 난 뒤부터는 매일 훈련을 마치고 차가운 물이 담긴 검은색 고무 대야에 옹기종기 들어가 앉을 정도로 피로 회복에 공을 들이고 ... ...
[출동!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2.16
안에 있는 작은 숲을 찾았어요. “먹이통은 나무
위
에서 활동하는 작은 새들을
위
한 거예요. 그래서 나뭇가지에 걸지요. 또한 고양이가 새들을 잡아먹을 수도 있으니, 고양이가 올라가지 못하는 가는 굵기의 나뭇가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답니다. 너른 공터에 있는 나무를 골라야 새가 고양이를 쉽게 ... ...
[아는만큼 보인다] 썰매 종목 첫 금메달 안긴 스켈레톤 뒤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2.16
특성을 분석한 과학적 훈련 기법이 한몫했다. 민석기 한국스포츠개발원 선임연구
위
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2015년부터 스켈레톤과 봅슬레이 대표팀 선수의 유전자 특성을 분석해 선수별 맞춤형 체력 훈련 프로그램을 짰다. 특히 근육의 특성을 결정하는 ACTN3라는 유전자를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 ...
[아는만큼 보인다]동계올림픽의 꽃 '피겨 스케이팅'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2.15
작고 팔다리가 짧을수록 유리하다. 키가 너무 크면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가슴
위
쪽에
위
치해 균형을 잡기가 어렵고 체력도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피겨에 맞는 체형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다. 빙상계는 피겨 선수의 이상적인 키로 여자는 165㎝ 이하, 남자는 ... ...
포항 지진 경보 7분이나 걸린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2.13
통합되면 오류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기상청은 2020년까지 자신이
위
치한 곳에서 느끼는 지진의 진도를 신속히 예보하는 경보 체제 ‘온사이트(On site)’ 역시 개발할 예정이다. 현재 지진 조기경보가 3개 이상의 관측소에서 지진파가 감지됐을 때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앞으로는 ... ...
세계 첫 로봇 스키 금메달은 ‘태권브이’
동아사이언스
l
2018.02.13
보였던 스키 타는 로봇을 개발해 로봇 기술 발전의 기틀을 닦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1
위
를 차지한 미니로봇의 전영수 이사는 “스키 타는 로봇 영상이 유튜브 등 해외 사이트를 통해 알려지며 외국에서 벌써 로봇 구매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 ...
컬링 선수의 빗자루질 뒤에 물리학이 있다
2018.02.12
받습니다. 스톤의 무게는 아래로 작용하고, 빙판이 스톤을 받쳐 주는 힘이 아래에서
위
로 가해집니다. 또 스톤이 움직이는 반대 방향으로 얼음과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해 스톤의 속도를 늦춰줍니다. 스톤이 감속할 때 회전의 바깥 가장자리 마찰력이 안쪽보다 줄어들면서 스톤이 처음의 ... ...
인간과 겨뤄보자! 로봇들의 설원 질주
동아사이언스
l
2018.02.12
모았다. 이번 대회를 주관하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류지호 로봇성장사업단장은 “눈
위
에서 무게중심을 잡아야 하는 스키 기술을 기계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로봇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큰 보탬이 된다”며 “매년 국내에서 열거나 외국과 연계해 겨울올림픽 때마다 개최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진화심리학 삼국지
2018.02.11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심리학은 정신적 능력과 힘이 점차 획득되어 간다는 새로운 토대
위
에 기반할 것이다. 인간의 근원과 인류의 역사에 빛이 드리울 것이다. -찰스 다윈, 1859년 에서 ※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인류의 신체와 정신, 질병에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