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d라이브러리
"
다음다음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래가 바다로 되돌아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199410
어류에서 출발, 육지생물로 발전한 동물 중 고래는 다시 바다로 되돌아간 존재로 유명하다. 지상에서 성공적으로 살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한 고래가 다시 바다로 돌아간 까닭은 뭘까.몇몇 과감한(혹은 소심한) 물고기가 바다를 떠나 육상에서 척추 동물로서 살기 시작한 후, 그들의 후손은 양서류로 ... ...
인터네트 필수상식 25
과학동아
l
199410
인류가 건설한 최대의 성과물로 꼽히는 인터네트. 국내에 인터네트 열풍이 불고 있다. 이전까지 학교나 연구소 등 소수의 인원만이 향유하던 이 보물창고가 한국통신의 상용서비스 개시로 일반에게도 문이 열리면서 날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하지만 사용법을 모르면 그림의 떡에 불과하다. 인 ... ...
생물- 수질오염원인 과학적 탐구요령
과학동아
l
199410
수질오염의 원인은 몇가지나 될까. 또 오염의 원인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탐구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북한강 유역 수질오염원인을 찾아보며 '과학적 탐구방법'도 배워보자.자연 현상을 관찰하여 그 속에 숨어 있는 원리와 법칙을 찾아내는 과정을 과학적 탐구 방법이라 한다. 공통적으로 받아들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10
고에너지 산업을 향해 치달아온 현대문명은 이제 갈림길에 섰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이 요구될까. 그 속에서 한국의 역할은 어떤 것이 될까.청동기 시대에는 20세였다는 인간의 수명이 이젠 거뜬히 80-90세까지 늘어났다. 그런가 하면 온갖 기계 덕분에 너나 할 것 없이 노예 수십명을 ... ...
PART 2 살류트-프리덤 이어 상업용 우주호텔 등장
과학동아
l
199410
살류트와 스카이랩을 거쳐 제2세대 우주정거장 미르가 활동중이다. 앞으로 전개될 3세대 우주정거장은 어떤 모습일까. 우주호텔은 언제나 가능한 것일까. 아폴로 계획 이후 미국은 새로운 우주개발 목표를 설정해야 했다.그 첫번째 목표가 지구궤도에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장소를 확보하는 우 ... ...
화학- 색깔이 변하는 신비의 용액
과학동아
l
199410
가을은 온통 아름다운 색깔로 우리를 사로잡곤 합니다. 물이 뚝뚝 떨어질 것만 같은 파아란 하늘, 산이 타고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멋들어진 붉은 단풍들…. 실험실에서도 단지 흔들어만 주면 아름다운 단풍색깔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처음 용액의 색깔은 분명히 노란색이었을 거예 ... ...
한글 왜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410
한글이 '가장 과학적인 글자' 라는 교육을 쉴새 없이 받아온 사람들도 왜 '과학적' 인지에 대해 이해할 만한 설명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은 컴퓨터에서의 한글 표현이 쉽지 않다는 이유로 한글이 '비과학적' 이라고까지 주장하는데… 하지만 결론은 역시 '한글은 과학적' ... ...
화학- 전기, 두 금속 접촉·산화할 때 생긴다
과학동아
l
199410
전기현상을 둘러싸고 옛 화학자들이 행한 실험과 이를 바탕으로 내린 주장을 현대인의 눈으로 보자면 우스꽝스럽기까지 하다. 하지만 이들의 진실을 밝히고자 했던 노력이 없었다면 오늘날 우리들이 전기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이해할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기원전 6백년 경 탈레스는 호박(琥珀)을 ... ...
1 한번쓴 자원, 원상회복 안된다
과학동아
l
199410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법칙은 물질과 에너지가 한 방향으로만 바뀔수 있음을 천명한다. 이는 엔트로피가 증대되는 방향인데, 우주 삼라만상은 가치와 질서가 있는 상태로부터 가치가 없는 혼돈 상태로만 변해간다.향수병의 뚜껑을 열어두면 향기가 온 방안으로 퍼지게 된다. 그러나 반대의 경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
과학동아
l
199410
백두산의 고산지대에 피는 꽃들은 식물체에 비해 꽃이 크고 또한 꽃색깔이 다양하고 화려해 장관을 이룬다.세계 생물권 보존지구의 하나인 백두산은 한반도 북쪽 북위 42°7′에 있는 산이다. 중국과의 국경선지대 내에 있어 중국에서는 장백산(長白山)이라 한다. 백두산은 가장 높은 봉우리인 장군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