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다. ▲ 대원들이 수거한 올가미. ▲ 대원들이 호랑이의 신체 크기를 재고 있다. ▲
눈
위에 찍힌 호랑이 발자국. 어른 손바닥을 벌린 정도의 크기로, 발자국 간격은 약 80~90㎝이다.살아갈 터전이 필요해!그렇다면 호랑이가 살 수 있는 환경은 무엇일까? 야생동물 보존협 회에서는 호랑이 한 ... ...
Intro. 썰매 삼총사와 스키 패밀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 방학이다! 춥다고 방에만 있으면 볼록볼록 살이 찌고 말 거야.
눈
쌓인 하얀 세상으로 나가 보는 건 어때. 수학동아와 함께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캐나다 밴쿠버로 떠나는 거지. 거기에서 새로운 친구도 만나고 다양한 겨울스포츠도 즐겨 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썰매 삼총사와 스키 ... ...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적고 더 높은 곳에서 출발해 속도를 높였다. 알파인 스키를 이렇게 네 가지 경기로 나
눈
것은 다양한 속도와 회전 실력을 겨루기 위해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썰매 삼총사와 스키 패밀리썰매 삼총사의 달리기 뼈대있는 스키 가족 멋쟁이 스키 친척 스키, 하늘을 날다 종이접기의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먼저 물었다. 동전과 주사위를 동시에 던졌는데 왜 동전의 면을 고정해 놓고 주사위의
눈
이 나오는 경우를 따지는 것일까? 실제로 던질 때는 ‘동시에’ 던지지만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를 헤아릴 때는 둘 중 한 가지를 고정시켜야 모든 경우를 빼놓지 않고 셀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는 모두 몇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간빙기로 나누어 부르고 있어요. 기온이 내려가는 빙기에는 빙하의 면적이 커지고
눈
도 두껍게 쌓이지만 기온이 올라 간빙기가 되면 빙하가 녹으면서 줄어들어요. 그래서 지금처럼 빙하가 녹는 때는 간빙기라고 볼 수 있답니다.식물의 풍화작용암석이 공기와 물, 또는 동물과 식물에 의해 토양으로 ... ...
늦더위와 방학 숙제를 한 번에! 과학실험 BIG. 3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나오면 한번 써 보고 싶은 마음이 들지요? 마찬가지로 처음 보는 주제가 나오면 선생님도
눈
여겨본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주제를 충실하게 해결해 가는 과정이 잘나타나 있느냐예요. 이 점을 꼭 기억하세요!과학 실험으로 무더위도 잡고 ‘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얼마 남지 않은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동그랗고 누런 몸에 검은색 얼룩무늬가 있어. 짧고 작지만 뾰족한 입술과 까만
눈
동자 그리고 긴 뒷다리가 매력이지. 맹꽁이는 개미, 딱정벌레, 쥐며느리 같이 땅 위에 사는 곤충을 먹는단다.맹꽁이를 구해 줘!맹꽁이는 본래 농촌의 논 주변과 밭에서만 살았어. 그런데 요즘은 농약 때문에 땅이 ... ...
파리의
눈
으로 로봇의
눈
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가지 장면을 보여 주면서
눈
과 뇌의 반응을 연구한다고 해요.이 사진은 실험 중인 파리의
눈
과 뇌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세포가 어떤 부분인지를 형광 물질로 표시한 사진이에요. 이런 과학적인 연구 덕분에 머잖아 파리처럼 빠르게 날아다니면서 장애물을 피하는 로봇이 탄생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
잠수함의 필수품, 잠망경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4호
가슴 쪽에 책을 펼쳐놓고 하늘을 보고 있으면 책의 상이 거울에 90°로 반사되어
눈
위의 거울에 보이는 거지요. 물론 상이 흔들리지 않게 자세를 똑바로 고정하고 있어야겠죠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아주 적은 수의 꽃매미가 살고 있다가 최근 나타난 게 아닐까?5㎝ 정도의 크기에
눈
에 띄는 주홍빛의 날개를 갖고 있는 곤충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었다면, 그 동안 곤충학자와 학생들에게 발견이 되었어야 하네. 그런데 꽃매미가 공식적으로 확실하게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 또한 꽃매미는 수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