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3차원 그래프로 4차원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원점은 현재 위치와
시간
을 의미한다. 물체가 이동한다면 평면 위의 미래의 원뿔에 세계선으로 표현된다. 마찬가지로 과거의 움직임은 평면 아래의 과거의 원뿔에 나타난다. 원뿔 모선의 45° 각도는 민코프스키가 정한 빛의 ... ...
[재미] 최종회 변 이장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긴장한 소마도 손을 떨며 마지막 숫자를 입력했다. 마지막 숫자를 입력하자 3초의
시간
이 남아 있었다.“휴~, 반장님. 풀었어요. 어서 문을 열어요!”왕 반장이 서랍장 뒤에 있는 문을 힘껏 열었다. 그리고 세 사람은 허리를 굽혀 작은 문 안으로 들어갔다. 그러자 서랍장 뒤 문 안에는 커다란 미로가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스텔러레이터인 일본의 LHD(거대나선장치)는 특정 조건에서 고온 플라스마 지속
시간
이 1
시간
을 넘을 정도로 성능이 뛰어나다. 아직 어떤 토카막 핵융합 장치도 달성하지 못한 성능이다. 최근에는 아예 토로이달 코일과 헬리컬 코일을 결합한 독특한 3차원 디자인의 스텔러레이터도 탄생해 이목을 ... ...
[과학뉴스] “나 박쥔데, 시끄러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천연가스 채굴지역을 대상으로 박쥐의 생태를 연구했다. 연구팀은 채굴장에서 1년 내내 24
시간
작동하며 큰 소음을 만들어내는 가스 압축기에 주목했다. 먼저 압축기가 있어서 소리가 시끄러운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고른 뒤 그 지역에 사는 박쥐의 활동량을 측정해 기록했다. 그 결과 시끄러운 ... ...
[과학뉴스] GPS 위성으로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이런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연구팀의 게오프 블레위트 교수는 “
시간
이 10억분의 1초 정도만 어긋나도 암흑물질이 지나갔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며 “현재 전 세계 1만2000개 지역에서 24
시간
운영 중인 GPS 정보를 분석해 암흑물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현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천왕성 오로라는 다른 행성의 오로라가 수
시간
씩 지속되는 것과 다르게 2분 정도만 나타나며, 띠가 아닌 점 형태로 발생한다. 심지어 행성 내부 활동이 멈춰 자기장이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던 화성에서도 오로라가 관측된다.글의 마지막에 이야기하게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프라이팬 코팅재로 흔히 쓰는 테플론(PTFE) 나노입자를 쥐가 15분 동안 마시게 했더니 4
시간
만에 죽었다고 보고했다. 하워드 박사는 2003년 3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나노입자는 크기가 작아질수록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생체조직과 더 잘 반응해 독성이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더 ... ...
우리 주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배달시켜 먹는다”며 웃는 그들에게, 앱 출시를 앞둔 소회를 물었다.“2년이라는
시간
동안 정말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후배들도 안정적인 직업만을 좇지 말고, 벤처 창업에 도전했으면 좋겠어요. 이제 곧 앱이 정식으로 출시될 텐데, 세상에 나갔을 때 과연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지 무척 궁금하고 ... ...
동글동글 새콤달콤 블루베리의 3색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몸을 최대한 작게 만들고, 싹을 틔우는 등의 따뜻한 날씨에 하던 일을 멈춰요. 이렇게 800
시간
이상 겨울잠을 잘 자야 이듬해 여름에 다시 탐스러운 블루베리가 주렁주렁 달린답니다.빨갛게 물든 블루베리 잎은 차로 끓여 마실 수 있어요. 찻잎으로 만든 블루베리 잎을 뜨거운 물에 넣고 우려내면 ...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괜찮은 아이디어가 스쳐 지나간다고요. 이게 복잡한 문제를 푸는 도화선 역할을 해요.
시간
이 오래 걸리더라도 작은 게 쌓이다 보면 어느새 난제를 해결할 수 있을 만한 크기가 되어 있어요. 우리 몸을 촬영하는 CT장비가 고등학교 때 배우는 방정식에서 시작된 게 좋은 예죠.”차근차근 계단을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