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숨쉬지 않고도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찰랑일 것 같다.디지털 예술과 그래픽 디자인을 하던 작가가 극사실주의 작품을
시작
한 것은 2011년 일본의 리우스케 후카호리의 금붕어 작품을 보면서다. 동료 사진기자의 소개로 알게 된 작품을 보면서 새로운 기법에 도전했다.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작품을 발표했는데, 초기 작품은 물속에서 노는 ... ...
[과학뉴스] 3년만의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8일 오후 5시 14분부터
시작
된다. 이 때는 반영식(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감)이
시작
되며 본격적인 부분월식은 한 시간 뒤인 오후 6시 14분쯤부터 진행된다. 개기월식은 7시 24분부터 관찰할 수 있으며, 절정은 7시 55분쯤이다.서울 용산에 위치한 과학동아천문대에서는 개기월식이 이뤄지는 시간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bioengineering)의 이진형 교수는 공학과 의학, 생물학을 넘나드는 대표적인 ‘융합 연구자’다. 서울대(학사)와 스탠퍼드대(석·박사)에서 전기공학 ... 스스로 품게 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주도적으로 고민하는 데서부터
시작
해야 한다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느끼시면서 점차 관심도가 높아지더군요.”“10~20년은 해봐야 경험이 축적되고 무언가가
시작
될 것”이라는 박창용 책임연구원의 말을 새겨 봄직하다. 처음부터 엄청난 것을 기대하면 금물이다. 아직은 서로 더 많이 친해질 시간과 기회가 필요하다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써내려갔다. 이 책의 성공 이후, 다른 출판사에서도 과학책에 감성을 불어넣는 시도를
시작
했다. 전 팀장은 “과학책이 점차 따뜻해지고 있다”고 말한다. 냉철한 사고와 과학적 본질만을 추구하던 틀에서 벗어나 우리 삶과 과학의 관계, 과학자의 이야기를 다룬 책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관심이 많습니다. 언제쯤 해저도시에 살 수 있을까요?A 해저도시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
했습니다. 특히 프랑스의 자코스터라는 유명한 해양학자는 당시에 바다 속에서 2달 정도 지내기도 했습니다. 현재도 세계 곳곳의 바다 속에서 장기간 생활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곤 합니다. 바다 속에서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있도록 했다. 즉 장난감을 직접 보면 반칙이었다. 이렇게 두 번 정도 하고 세 번째 게임을
시작
하기 직전, 갑자기 연구자가 금방 돌아오겠다며 자리를 비운다. 이 때부터가 이 연구의 핵심이었다. 아이들은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 ‘잠깐 돌아봐도 아무도 모르겠지’라며 뒤를 돌아봐 장난감의 정체를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수 있다고 하죠.기준이 왜 바뀌었을까요? 세계화가 되면서 문화가 국경을 넘나들기
시작
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이제 화병을 ‘한국’ 문화의 특징이라고 말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 거죠. 새로운 진단 기준을 만드는 데 참여한 정신과 의사들은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어서 시합해 보자.잠깐! 축구를 하기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하는 것들이 있어.축구를
시작
하기 전에 꼭 착용해야 하는 3가지축구를 하려면 먼저 알맞은 복장을 해야 해요. 경기 내내 쉴 새 없이 뛰어다니고, 상대 팀 선수로부터 공을 빼앗아 상대 팀 골대에 더 많이 넣어야 하는 다이내믹한 종목인 만큼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생기는 셈이다. 덧니는 특히 부드러운 음식을 오랜 동안 선호해 온 일본에서 농경의
시작
과 더불어 증가했다. 일본 문화에서 덧니는 고쳐야할 비정상의 상태가 아니라 아름다움의 표징으로 여겨졌다는 점도 수가 늘어나는 데에 한몫을 했다. 일본의 덧니는 바로 생물과 문화가 어우러져서 진화한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