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2. 망가진 생체리듬이 병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수 있게 도와줬더니 우울증이 호전됐다는 보고도 있다.하루 리듬 가볍게 여기지 말아야
인간
은 동물과는 달리 복잡한 사회생활로 인해 자신의 생체 일주기리듬을 와해시키면서까지 불규칙적인 생활을 한다. 그러나 대개 이를 가볍게 여기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신체나 기분이 좋지 않은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먹이사슬을 통해 건너온 DDT와 같은 화학물질이 쌓였다. 카슨은 ‘침묵의 봄’에서 “
인간
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부터 나이를 먹어 죽을 때까지 화학물질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말했다. 사람의 몸에 쌓인 화학물질은 각종 암과 생식이상을 일으켰다.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환경호르몬 ... ...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 고통을 유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증명한 것이다. 뇌가 이처럼 기능한다는 사실은
인간
이 고통을 미리 피하려 한다는 진화적인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고통스런 경험에 대해 뇌가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의 몸을 준비상태로 만드는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만성적인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에게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하지만 속시원한 해법이 없다. 사실 오랜 기간 동안
인간
이 만들어낸 오염물질이 어느 한순간 사라질 수 있는 묘책이란 있을 수 없다.전문가들이 권고하는 ‘생활 속의 실천지침’은 주로 음식조절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한마디로 다이옥신이 농축된 지방을 피하라는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도 끊임없이 진화하며 새롭게 무장하고 인류사회에 도전할 것이 틀림없다.
인간
을 공격하는 바이러스는 그 종류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이들 중에는 사람이라는 집단과 아직 만나지 못한 것도 많다. 이들은 언제고 새 바이러스로 나타날 수 있다. 미래란 현재 시간의 연장일 뿐이다. 2 ... ...
원격수술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간이식에 관한 한 세계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는 의사가 있다고 치자. 간질환을 앓고있는 사람은 누구나 그의 진료를 받기 원한다. 특히 간이식수술 ... 사람이 협동하는 시대다. 이제 수술용 텔레로봇 시스템은 21세기형 의료기술임은 물론
인간
과 로봇의 협동을 선도하는 견인차가 될것이다 ... ...
[비교] 미국과 러시아의 달정복 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실패로 사람을 태울 기회를 잡지 못했다.우주복 - 미국우주복 대 황금매달에서
인간
이 활동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주복이다. 우주복은 모든 생명유지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우주복의 뒤쪽에 붙은 간이 생명유지장비는 산소를 공급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우주복 압력을 조정하고,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그가 이야기를 중간부터 시작한 이유는 ‘스타워스’가 별들의 전쟁 자체가 아닌,
인간
내면에서 벌어지는 선과 악의 대결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미 제국군과 동맹군간의 ‘별들의 전쟁’이 어떻게 끝날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결국 “누가 은하계를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옆좌석의 승객에게 전염될 수도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문명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인간
의 생활권이 확대됨으로써 세계가 더욱 가까워진 만큼 다른 나라의 바이러스와 만날 기회가 많아지고 있는게 사실이다. 세계에서 무역 10대국에 속해 있는 한국으로서도 신종 바이러스의 위협을 남의 일로만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시간) A로켓 엔진이 꿈틀거리더니 눈 깜짝할 사이에 우주로 날아올랐다. 그리고 5분 후
인간
이 만든 최초의 별은 지구 위 2백28-9백 47km에 자리를 잡고 최초의 메시지를 지구로 보내왔다. “비프, 비프.” 우주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첫 신호였다.스푸트니크 2호는 11월 3일 ‘라이카’라고 부르는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