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뉴스
"
시간
"(으)로 총 19,384건 검색되었습니다.
옥스포드대의 '칼리지'를 본딴 해리포터의 '그리핀도르'
2022.09.24
명의 대학원생이 소속돼 있습니다. 칼리지마다 도서관도 있는데, 워덤 칼리지 도서관은 24
시간
출입이 가능한 데다가 최신 시설이라 자랑할만 합니다. 저도 여기서 밤을 많이 샜었어요. 한번은 석사 논문을 마무리 짓기 위해 40
시간
동안 도서관에 있던 적도 있었습니다. 다행히 논문은 잘 나왔지만, ... ...
뱃속 아기도 쓴맛 느낀다…엄마가 케일 먹으니 ‘얼굴 찡그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음식에 대해 반응한 것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심리과학' 온라인에 21일(현지
시간
) 공개했다. 태어나지 않은 아기가 맛에 반응을 보이는지를 살핀 첫 연구다. 연구팀은 영국의 18~40세 임신부 70명에게 공복 상태에서 녹색채소인 케일의 분말을 담은 캡슐과 당근 분말 캡슐을 복용하도록 ... ...
美 인간 '뇌 지도' 만드는 프로젝트에 5억 달러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있다. 지난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팀은 인공 뇌에서 세포 단위 신경 신호를 실
시간
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뇌 신호 전파속도가 뇌세포의 부위별로 어떻게 다른지 알려주고, 뇌 속 회로가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보여준다. 이렇게 얻은 데이터는 뇌 지도 개발에 ... ...
"국민 97.38% 코로나19 항체 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력을 갖췄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당부했다. 면역으로 형성된 항체는
시간
이 지나며 소실되고 새로운 변이가 나타났을 때 기존의 방어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는 뜻이다. 권 원장은 "접종 또는 감염된 후 4개월 이상이 지난 경우 추가 백신접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국민 ... ...
'알파폴드' 딥마인드 과학자에 '과학계 오스카상'...한국인 수상자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해독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는 평가다. 브레이크스루 상 재단은 22일(현지
시간
) 생명과학, 기초 물리학, 수학 분야의 브레이크스루 상을 포함해 신진과학상 등 총 25명을 2023년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한국인으로는 박진영 미국 스탠포드대 수학과 교수도 신진 여성 수학자상을 받으며 ... ...
[과학게시판] 지질연, 탐사연구선 탐해3호 용골거치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극지 및 대양까지 탐사가 가능하다. 6km 길이의 탄성파 수신 스트리머 8조를 탑재했다.
시간
에 따른 해저 지층의 변화를 탐지하고 예측하는 4D 모니터링 기술이 적용돼 해저자원 탐사의 효율성을 높였다. 2023년 4월에 바다에 처음 띄워질 예정이며 2024년 건조완료 및 시운전을 거쳐 공식 취항할 ... ...
제비처럼 날며 정교하게 건물 짓는 드론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비행하며 건축물을 짓는 3차원(3D) 프린팅 드론을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1일(현지
시간
) 공개했다. 최근 건설 현장에 로봇을 도입하려는 시도들이 늘고 있다. 대우건설은 지난 6월 웨어러블(착용형) 로봇을 개발해 작업자의 근력을 보조해 작업 효율을 높이고 근골격계 산업재해를 줄이겠고 ... ...
국내 도입 앞둔 중입자 치료..."효과 입증 연구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9.22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는 “중입자 치료기의 부작용이나 다른 치료법과의 효과를 오랜
시간
비교한 논문이 아직까지 없다”며 “새롭게 각광 받는 치료법인 만큼 앞으로 국내에서도 장기간 연구가 이뤄질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 ...
제임스웹, 해왕성 고리 포착...보이저 2호 이후 33년만
동아사이언스
l
2022.09.22
처음으로 해왕성 고리를 촬영한 이후 33년 만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1일(현지
시간
) JWST이 포착한 해왕성 고리 사진을 공개했다. JWST 프로젝트에서 학제간 과학자로 연구를 수행 중인 하이디 하멜 미국 천문학연구대학협회부회장은 "희미하고 먼지로 된 띠를 마지막으로 본 지 30여 년이 ... ...
한미 양자기술 협력 본격화…워싱턴DC에 센터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2.09.22
양자기술 협력거점 역할을 할 ‘한·미 양자기술 협력센터’ 운영을 시작한다고 21일(현지
시간
) 밝혔다. 미국 워싱턴DC에 개소한 한미 양자기술 협력센터는 지난해 2월과 올해 5월 열린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 조치다. 양자기술과 관련해 한국과 미국 간 협력사업을 지원한다. 협력이 필요한 분야를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