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합
단체
협회
모임
클럽
학회
집회
뉴스
"
회
"(으)로 총 7,123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무리한 문이과 통합에 길 잃은 백년대계
2018.07.19
모든 산업이 ICT 기반으로 재편되는 소위 4차 산업혁명의
회
오리가 산업뿐만 아니라 사
회
전체를 완전히 뒤바꿀 폭풍으로 변하고 있다. 그 바탕에 수학과 과학이 자리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수학은 과학기술의 언어이고 도구이다. 주요 선진국들이 하나 같이 초중고등학교 교육에서 ... ...
“출연연 비정규직 인력 전환, 일반 공기업처럼 대해선 안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8
문제만 키우는 꼴”이라고 말했다. 또 권교수는 2017년 5~6월 사이 국가과학기술연구
회
과제로 실시한 출연연 연구인력의 활용 및 양성 방향 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출연연과 대학, 기업 등에 소속된 25명의 전문가와 심층 인터뷰하고 약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 ...
‘액체 금속 전자
회
로’ 개발… 접을 수 있는 기판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8
까다로운 방식이다. 서울대 연구진은 이런 기존 방식을 깨고 ㎛ 단위의 액체 금속
회
로를 제작했다. 이 방식을 고안한 것은 고 교수팀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고상근 교수는 “자체 개발한 방식으로 2㎛ 폭의 액체 금속 패턴을 제작했다는 점에서 독보적 기술‘이라며 ”앞으로 플랙서블 ... ...
“수능서 기하-과학Ⅱ 빼는 것은 이공계 사망선고”…13개 과학기술단체 공동 서명운동
동아사이언스
l
2018.07.18
25일 기하와 과학Ⅱ를 수능에 포함시키는 것을 촉구하는 기자
회
견을 개최할 예정이다. 김
회
장은 “과기계만 수학, 과학이 중요하다고 얘기해서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 결국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이 문제의 심각성과 중요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며 “국민들을 설득할 수 ... ...
日 노벨상 뿌리는 가속기...韓 중이온가속기 ‘라온’ 큰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7.16
것이다. 그는 “과학 시설이 있으면 젊은 학자들이 세계에서 모인다”며 “이들이 사
회
나 과학계의 주축이 될 때 한국에 큰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한국, 국제수학올림피아드서 금3·은3 수상해 종합 7위
동아사이언스
l
2018.07.13
경우 7점 만점에 평균 0.638점을 기록할 정도로 난이도가 높았던 것으로 평가됐다. 다음 대
회
는 내년 7월 영국에서 열린다. 이달 3일부터 루마니아 클루지나포카에서 열린 ‘제59
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참가한 한국 대표단. 왼쪽부터 부단장 엄상일 KAIST 교수, ... ...
[카드뉴스] 보이지 않아도 알아요
2018.07.12
[In-depth] IoT시대의 나노기술....보이지 않아도 알아요 나노 기술로 만든 기기는 크기가 매우 작으면서도 전력이 적게 드는 게 장점이다. ... 곧잘 미래 사
회
가 맞게 될 가장 변화된 모습으로 꼽히곤 한다. 나노 기술이 이런 사
회
를 앞당길지 주목해 보자 ... ...
[별별 필즈상 이야기] 최연소 기록을 세운 천재 중의 천재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입상 기록도 가지고 있다. 1975년생인 타오는 11살 때 처음으로 세계수학올림피아드 대
회
에 출전해서 최연소로 동메달을 받았다. 그때부터 3
회
연속으로 올림피아드에 참가한 타오는 12살 때는 은메달을, 13살 때는 금메달을 최연소로 수상했다. 이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테렌스 ... ...
차세대 나트륨이차전지 앞당길 음극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개선됐다. 게르마늄 황화물-그래핀 복합체의 미세구조와 수명 특성을 나타낸다. 100
회
가 넘는 충·방전 횟수에도 전지 용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 한국연구재단 게르마늄 황화물 전극이 좋은 성능을 보이는 원리도 규명했다. 물질의 조성이 균일한 고체 물질이지만 반응 중 액체처럼 원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부수고 지나가는 사람을 다치게 하듯이 암세포 역시 새 삶을 살며 자신이 속했던 사
회
(개체)에 피해를 주지 않을 수 없는 것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