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린이 과학자가 밝혀낸 회암사지 ‘ㅌ’자 구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잠깐! 전국과학전람회란?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전국 과학영재들이 참여하는 큰 과학행사예요. 59회를 맞은 올해 전체 출품작 5563점 중 1등인 대통령상은 대구과학고등학교 송영운 학생이 받았어요. 2등인 국무총리상은 바로 칠봉초등학교 학생들이 받았지요.빙글빙글 순환하는 열로 따뜻한 ... ...
- 지구사랑탐사대 세 번째 뉴스레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가장 큰 장점은 혼자서 자유롭게 탐사하면서도 내가 탐사한 결과에 대해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다는 거예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장이권 교수님께 직접 여쭤 볼 수도있고, 같은 지역 탐사대원들과 토론을 할 수도 있어요.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바로지구사랑탐사대 안에 다양한 소통 ... ...
- 우주에 울려 퍼지는 레이더 아리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제가 보내는 고해상도 레이저 영상은 산불, 해일 같은 재난, 재해를 감시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거예요.그럼 다른 아리랑 시리즈는 이제 임무 끝? 너 혼자로 도 충분하지 않아?아니에요. 저와 아리랑 2, 3호는 앞으로 서로를 보완하며 계속 지상을 지켜볼 거예요. 광학카메라의 관측 결과도 매우 ... ...
- 스트레스 엄마, 제 마음의 목소리가 들리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예다. 이런 사건이 동시에 여러 개 일어나면 누군가의 죽음 같은 큰 사건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어린이 스트레스, 지금 어떤 상태?얼마 전부터 초등학생이 학업 스트레스로 자살했다는 기사가 간간이 나오잖아요. 정말 무서운 건요, 그런 아이들의 마음이 이해가 간다는 거예요. 저도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있도록 진화했다고 주장했다.두뇌와 함께 진화한 요리 실력사람의 두뇌가 발달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것이 바로 식습관이다. 유명기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는 “인류가 직립을 하면서 두뇌가 발달했고, 왕성해진 두뇌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육류를 먹어 다시 두뇌를 발달시켰다”고 ... ...
- 메뚜기 VS 여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주로 낮에 활동해요. 메뚜기 떼 습격!메뚜기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사막 지역에서 농업에 큰 해를 끼치는 해충이에요. 1000억 마리까지 무리를 짓기도 하는 사막메뚜기(사진)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2배나 되는 식물을 먹어치울 수 있을 정도랍니다. 우리나라도 신라와 조선 시대에 메뚜기 떼 습격을 ... ...
-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건지, 방사선이 어떻게 이용되는지 눈으로 확인했더니 마음이 조금 놓였어. 하지만 가장 큰 문제가 남았잖아! 원자력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시설인 원자력발전소(원전)의 안전성 말이야.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사고도 원전이 터져서 났다는데…. 그래서 어과동 명예기자들과 함께 직접 원전에 가 ... ...
- 가짜 기억을 만들 수 있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트라우마 생긴다앞서 소개한 연구에 나오는 생쥐처럼 육체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으면 트라우마가 생길 수 있다. 트라우마는 극심한 고통이나 정신적인 충격을 받은 사람이 사고 당시를 떠올리며 불안에 떠는 상태를 말한다.실험용 생쥐는 상자 A를 보기만 해도 바들바들 떨기 ... ...
- 지렁이가 지구온난화 주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찾았답니다. 확인했더니 그 장소에서 큰사슴갯지렁이가 군집을 이루며 모여 있었지요.큰사슴갯지렁이는 메탄을 소비하는 박테리아를 먹고 사는데, 이 때문에 땅에 관 형태의 구멍을 파고 박테리아를 잡아요. 이 과정에서 땅 속의 메탄이 바다 속으로 나오게 된 거랍니다 ...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맞아서 다치거나 하지 않을까?물론 소행성이나 큰 암석 덩어리가 지구에 떨어지면 큰일 나지요. 아무리 크기가 작더라도 최고 초속 72㎞나 되는 엄청난 속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충격 에너지가 엄청나거든요. 예를 들어 6500만 년 전 지구에 떨어진 소행성의 지름은 약 10㎞, 도시 하나 정도의 ... ...
이전5125135145155165175185195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