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65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올해의 인물 10인...기후변화, 코로나19 전문가 등
동아사이언스
l
2022.12.24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22일 우주를 촬영한 듯한 이미지를 표지로 실었다. 지난해 12월 발사돼 귀중한 천문 현상을 관측중인 우주망원경 ‘제임스웹(JWST)’에서 영감을 얻었다. 우주를 촬영한 것처럼 이미지를 만든 뒤 ‘10’이란 숫자를 표현했다. 네이처는 2022년 한 해 동안 놀라운 과학적 ... ...
공룡이 포유류 먹었다는 최초 증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4
교수 연구팀은 육식공룡 미크로랍토르 화석에서 포유류의 발이 발견됐다고 국제
학술
지 ‘척추동물 고생물학 저널’에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미크로랍토르 뱃속에서 주머니쥐 혹은 설치류로 보이는 포유류의 발이 발견됐다”며 “공룡이 포유류를 먹었다는 최초의 구체적 증거”라고 밝혔다. ... ...
공간 깊이감 구현한 화상회의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개발하고 시스템 효과를 검증한 논문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에서 주최한 제14회 국제
학술
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포털 디스플레이 회의시스템은 비대면 화상회의에 참가한 상대방이 모니터를 통해 마치 한 공간에 있는 것처럼 느껴지게 한다. 서로 다른 두 공간을 ... ...
X마스 테마 운동하면 효과는 '배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그레고리 비들 영국 러프버러대 연구원 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국제
학술
지 ‘영국의학저널(BMJ)’ 이달 크리스마스 특별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통상 성인들은 크리스마스가 있는 연말에 체중이 0.4~0.9kg 증가한다. 단기간 체중 증가는 몸을 무겁게 할 뿐만 아니라 불어난 살이 ... ...
탄소배출 줄이고 더 푸르게...크리스마스 트리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연구팀은 이 양이 실제 트리 생육에 필요한 양보다 많다는 분석결과를 지난 2020년 국제
학술
지 '포레스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농부들이 나무의 크기나 종, 나이에 따라 필요한 비료 양이 다르다"며 "나무별로 비료를 사용할 경우 쓰이는 비료량의 3분의 2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비료 사용으로 ... ...
방사선 노출된 부모 유전자, 자녀에게 전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방사선에 노출된 정자가 손상된 상태로 자손에게 전달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2월 21일(현지시간)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을 방사선에 노출시킨 뒤 세대를 거치며 변화를 살폈다. 예쁜꼬마선충은 해부학적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수명이 3주 ... ...
기후재앙의 시대, 대학 교재 기후변화 비중은 오히려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7개의 대학 생물학 교과서에서 기후변화에 대해 다루는 범위를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 12월 21일자에 발표했다. 교과서에서 기후변화를 다루는 비중은 꾸준히 늘어 2000년대 정점을 찍었다가 최근 다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이전에는 교과서 전체에 걸쳐 평균 ... ...
양자정보기술 연구에 날개 달아줄 입자 제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배명호 표준연 책임연구원(왼쪽)과 박완기 KAIST 박사과정생이 단일 전자원 측정시스템으로 소자의 전기 특성을 측정하고 있다. 표준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양자컴퓨팅과 양 ... 야자컴퓨팅에서 사용되는 기본 정보단위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달 국제
학술
지 ‘나노레터스’에 게재됐다 ... ...
바다 식물 플랑크톤, 기후변화 막는 방어막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변해도 바다 식물 플랑크톤의 유기탄소 생산량은 증가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2월 22일자에 발표했다. 식물 플랑크톤은 바다에서 가장 중요한 생명체 중 하나다. 햇빛이 닿는 바다 표층에 서식하며 광합성을 통해 바다 생물의 먹이인 유기탄소를 합성하고 ... ...
유전체 분석 단 2시간만에…암 표적치료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암 전장유전체에서 2시간 이내 유전체 구조 변이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12월 19일(현지시간)자에 발표했다. ● 슈퍼컴퓨터 없이 필요한 부분만 콕 집어 분석한다 남 교수팀은 전체 유전체에서 분석이 필요한 부분을 선별해내는 프로그램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