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스페셜
"
필요
"(으)로 총 5,730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사실 당연한 말이다. 그럼에도 생명과학 연구를 하는 사람들은 DNA 염기의 분자구조를 알
필요
가 있다. 유전정보를 기록하는 일이 염기가 존재하는 이유의 전부는 아니기 때문이다. 20세기 중반 분자생물학이 꽃필 시기만 해도 DNA의 역할은 정보 저장이고 유전자 발현은 전사인자 같은 단백질이 ... ...
“일방에서 호혜적 관계로”성공적이나 해결할 과제도 많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23
단축했다. 뿐만 아니라, 한미간 고위급 위원회를 설치하여 주요 현안이나 추가 협의가
필요
한 부분들을 논의하기로 했다. 명문화된 협정안에 안주하지 않고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겠다는 의도다. 신 협정 이행을 위한 정부 및 국내 원자력계의 역량 결집을 통해 우리의 실질적 국익이 ... ...
[신기후체제와 원자력①]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대응, 어디까지 왔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22
COP19)에서 당사국들은 지구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
한 2020년 이후의 ‘국가별 온실가스 감축 기여방안(INDC,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을 자체적으로 결정해, 2015년 제21차 당사국총회(COP21) 이전에 사무국에 제출하기로 했다. 협상타결 시한을 1년쯤 ... ...
무분별하게 자원 낭비한 나우루의 비극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19
포르쉐 같은 고가의 자동차를 타고 다녔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국민들은 굳이 일할
필요
를 느끼지 못하고 외국인 노동자에게 집안일부터 채굴 현장의 일까지 거의 모든 노동력을 의존했다. 화석에너지 고갈 뒤 인류의 미래? 하지만 이렇게 풍요로운 시절은 오래가지 않았다. 원인은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뒤 정신질환에 대한 연구비를 지원해왔다. 그런데 예술가만큼이나 과학자도 창의성이
필요
한 분야인데 왜 과학자들의 정신은 멀쩡한 걸까(물론 통계적인 관점에서). 이에 대해 아놀드 루드비히는 책에서 그럴듯한 설명을 한다. 즉 예술은 개인의 개성이 중요하고 “자신들의 감정적 혼란으로부터 ... ...
달라진 기후변화협약, 에너지 시장 어떻게 바뀌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11
환경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온실가스 규제와 같은 국가 간 협력이
필요
한 사안들은 교토의정서와 같은 국제협약을 통해 관리하기도 한다. 지난해 IPCC 보고서 승인과 당사국총회 이후 형성된 ‘2020년 이후의 신 기후체제’에 따라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INDC)이 하나 둘 ... ...
방사선 식품? 방사능 식품?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04
물질들이다. 이들은 일정 시간 동안 꾸준히 주변에 방사선을 내며, 이 때문에 방사선이
필요
한 곳에 원료로 종종 이용된다. 국내에서는 식품 처리에는 코발트-60이라는 물질에서 나오는 감마선만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방사능과 방사선의 차이 © KINS 방사선과 방사능은 마치 태양빛과 ... ...
나의 몸과 움직임이 비밀번호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6.02
위조가 불가능해 안전성이 높지만 눈을 갖다 대야 해서 불편하고 고해상도의 기기가
필요
해 초기 비용이 많이 든다. 신체 자체가 아닌 소리나 움직임을 통해 구별하기도 한다. 목소리를 구별하는 음성인식 기술이 대표적인데, 개발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주변 소음이 없어야 하고 건강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기사가 실렸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건 그럴
필요
성을 못 느꼈기 때문이다. 2002년 사스가 터지면서 반짝 연구가 진행됐지만 2004년 사스바이러스가 자취를 감추면서 연구동력을 잃어 그 뒤 지지부진해졌다. 그런데 2012년 메르스가 등장하면서 다시 연구를 ... ...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29
과학적인 타당성에 기반을 둔 SF 작가였다.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에 더하여 ‘퇴고가
필요
없다’던 글솜씨가 어우러져 수많은 명작 SF 작품들을 발표했다. 아시모프와 같은 작가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한 사람이 바로 존 캠벨이다. 당시 캠벨에게 수련을 받은 SF작가들의 작품이 어느 정도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