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과 함께한 놀자, 과학아! 샌프란시스코 과학놀이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있을까요? 보통 물방울은 물을 이루는 작은 알갱이인 분자들이 서로 잘 달라붙기 때문에
큰
방울을 만들기 어려워요. 속이 텅 빈 방울을 만들기 전에 서로 달라붙을 테니까요. 그러나 물에 비누를 풀면 물 분자 사이에 비누 분자들이 섞여 들어가서 물 분자가 쉽게 뭉치지 못해요. 그래서 얇은 막으로 ... ...
공룡은 몸집 클수록 피 따뜻해
과학동아
l
200608
공룡은 현존하는 파충류의 체온인 25℃ 가량인 반면, 체중이 13톤으로 몸집이 가장
큰
편인 초식 공룡 ‘아파토사우루스’는 체온이 41℃에 이르렀다. 몸집이 커질수록 열을 효율적으로 발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
1. TV는 미래를 싣고
과학동아
l
200608
대신 TV 수상기를, 마우스 대신 리모컨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큰
차이점은 양방향성이다. IPTV는 TV를 보면서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출연진이 입고 나온 의상을 홈쇼핑으로 즉시 구매할 수 있도록 시청자와 방송사의 양방향 소통을 대폭 강화했다.IPTV는 이미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08
수명 등 기술적 문제가 남아있어 짧은 시간 안에 상용화하기는 어렵다.작은 화면은 LCD,
큰
화면은 PDP“LCD가 좋아요, PDP가 좋아요?”요즘 TV 매장에서 판매직원들이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라고 한다. 최근 TV 시장의 흐름을 보면 2000년대 들어 잠시 프로젝션 TV가 CRT 시장을 대체하는 듯 했지만 최근엔 ... ...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200608
생산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수자원 보호처럼 자연환경을 좋게 유지하는데도
큰
몫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우리가 농업을 포기할 수 없게 만드는 또 다른 요인이다.몸과 땅은 둘이 아닐까?‘신토불이’(身土不二)라는 용어는 다산 정약용을 연구한 고 이을호 선생이 불교와 다산의 가르침을 인용해 ... ...
강철기둥 엘리베이터 타는 마징가Z
과학동아
l
200608
방식을 먼저 고려했다. 마징가Z 받침대의 네 귀퉁이 아래에 유압으로 움직이는
큰
기둥을 설치해 위로 올리는 방식이다.이 방식은 아주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비현실적이었다. 마징가Z를 포함한 엄청난 무게를 흔들림 없이 빠르게 밀어올리기 무척 어렵기 때문이다. 대신 강철 줄을 마징가Z의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08
속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공기 중에서는 1초에 340m를 갈 수 있다. 한편 공기보다 밀도가
큰
물 속에서는 소리의 속도가 훨씬 빨라 수온 8℃에서 1초에 평균 1435m를 이동하는 속도로 전달된다. 물보다 밀도가 높은 쇠파이프에서는 1초에 약 5000m나 갈 수 있다. 해수에서 소리가 전달되는 속도는 수온,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08
처참한 광경은 TV를 통해 전세계로 생중계됐으며 탑승자 가족은 물론 전세계인에게
큰
충격을 줬다.사건이 일어난 뒤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로널드 레이건은 사건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고위 관료와 저명한 과학자로 조사팀을 구성했다. 그들이 규명해낸 참사의 원인은 바로 발사할 때 사용되는 ... ...
개미는 무엇으로 사는가 - 앤트워크
과학동아
l
200608
몇 마리 잡아 앤트워크에 넣어보자. 작은 개미보다는 곰개미나 왕개미처럼 덩치가
큰
개미들이 더 멋진 집을 짓는다. 몇 시간이 지나면 개미들은 굴을 파며 그들만의 공간을 만들기 시작한다. 개미를 많이 넣어도 열심히 굴을 파는 개미는 몇 마리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논다는 사실이 재밌다.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있도록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약재를 이용한 처방을 적어놓음으로써 의학의 대중화에도
큰
기여를 했다.실학의 선구자 홍대용(1731〜1783)세종대왕 때 이룩한 독자적인 과학 발전은 조선 후기에 들어 그 빛을 잃고 만다. 바로 중국과 유교에 대한 지나친 숭배가 그 원인이었는데 홍대용은 당시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