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변화
여럿
여러
종류
변종
d라이브러리
"
다양
"(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푹 빠져서 몰두해 보세요. 그러면 분명히 그 분야의 참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거예요. 그런
다양
한 경험들이 나중에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할 때 도움이 된답니다. 글쓰기 연습이 수학 연구에 도움이 될 줄 누가 알았겠어요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오늘날은 융합형 인재를 원하는 시대이니, 학생들이 수학을 포함해 학문의 편식없이
다양
한 경험을 하면 좋겠어요.”“평생 수학을 활용한 예술 작품을 만들고 싶어요!”폴 닐랜더(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폴 닐랜더는 미국에서 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다. 1998년 서점에서 우연히 본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홍보대사의 주요 임무는 세계수학자대회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다. 아래에 나온
다양
한 방법으로 세계수학자대회를 홍보하고 이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것이 핵심!홍보 기간7월 16일부터 8월 21일까지문의처동아사이언스 수학동아팀 (02)3148-0765※ 별도의 참여 신청은 없습니다. 기타 자세한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TrpA1)을 사용해 특정 행동을 관장하는 신경세포들을 찾는다.흥미로운 초파리는 이밖에도
다양
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의 데이빗 앤더슨 교수는 왜 초파리 수컷이 암컷보다 공격적인지 연구해 올해 ‘셀’지에 발표했다. 원인은 ‘타키키닌(Tachykinin)’이라는 작은 신경 펩티드를 만드는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끊임없이 변화하는 고생물학, 과학의 재미기도 하다.삼엽충 이후로 지구에는 눈을 가진
다양
한 생물들이 등장해 지금의 복잡한 생태계를 이뤘다. 그래서 우리는 눈을 가진 생물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빛이 아닌 냄새나 소리 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 생물들이 자연선택 돼 캄브리아기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재료를 공부하는 식으로 말이야!WORST 오래 공부할 각오해야 될 걸?학부 때는 기초 지식과
다양
한 재료들을 넓게 배우기 때문에 아무리 분야를 좁혀가며 공부를 해도 깊이 있는 내용을 알기가 어려워.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하지!Q&A 신소재공학과는 새로운 소재만 연구하나요?절대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선인장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몸체가 주는 양분이 부족해지면 죽기 때문에 다른 선인장만큼 오래 살 수 없어요. 하지만
다양
한 형태와 색 때문에 관상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지요.비밀3 선인장은 내버려 둬도 잘 자란다?최마리 : 선인장은 참 알면 알수록 예쁜 식물인 것 같아. 나도 하나 키울래~.이단비 : 나도, 나도! 그런데 우리도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주목한 젊은 천재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필즈상을 수상하기까지 거쳐온 과정은 각자
다양
하다. 필즈상 수상자들에게는 어떤 뒷이야기가 있을까? 개성이 넘치다 못해 특이하기까지 한 별별 필즈상 수상자들에 대해 알아보자!최연소 기록을 세운 천재 중의 천재는?필즈상 수상자 중에서 가장 ... ...
[재미] 8회 두물머리에서 만난 사람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소마가 이장에게 말을 꺼냈다.“이장님, 퍼즐을 굉장히 좋아하시나 봐요? 마틴 가드너는
다양
한 퍼즐을 만들고 대중들에게 소개한 사람으로 유명하잖아요.”“네, 맞습니다. 퍼즐 마니아죠. 특히 마틴 가드너의 퍼즐을 좋아합니다. 소마 씨만큼 잘 풀지는 못하지만요…. 그런데 무슨 일 때문이죠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새로 만들며, 딱딱하게 굳은 단백질을 분해해 조직의 기능을 되살린다. 여기에 필요한
다양
한 생리인자를 분비한다. 심지어 주변에 있는 간세포를 끌어들여 분화를 유도하기도 하는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이를 증명했다.지난 5월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주명수 교수와 울산대 의대 신동명 교수팀은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