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실험 결과가 공개됐기 때문이다. 안동대 지구환경과학과 정기영 교수는 어뢰 추진체에서
발견
된 물질의 성분을 분석한 뒤 100℃ 이하의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비결정성 알루미늄황산염수화물’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이 물질이 고온고압의 폭발로 만들어진 ‘비결정성 알루미늄산화물’이라는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극관에는 대량의 드라이아이스가 있다. 우주 어느 곳에서 이렇게 커다란 드라이아이스를
발견
한다면 원하는 만큼 우주선에 매달아 끌고 간 뒤 추운 행성에 떨어뜨린다. 거대한 드라이아이스가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 열 때문에 드라이아이스가 이산화탄소로 바뀐다. 결국 그 행성에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파도리에서 조간대에 이 방법을 쓴 적이 있었는데, 가로 세로 1m 넓이의 땅에서 3000마리나
발견
되던 조무래기따개비가 세척 뒤 완전히 사라졌대. 외국에서도 이 기술을 쓴 곳의 생태계가 다른 곳보다 2~3년 느리게 회복된 예가 있고. 그래서 전문가들은 방조제(사진) 등 인공시설에만 쓰도록 권하고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찌지 않는 다이어트 약이 나왔단다. 10년 전인 2010년 미국 존스홉킨스대 황유상 박사가
발견
한 펩타이드(아미노산중합체)가 오랜 임상시험을 마치고 신약 ‘고트블락(GOAT-block)’이란 이름으로 승인을 받은 것이다. 고트블락은 식욕 호르몬인 그렐린을 활성화하는 효소인 고트를 억제해 다이어트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교수가 연구하고 있다. 소 교수는 흰쥐의 혈관 안에서 알 수 없는 봉오리와 관을
발견
하고 이것이 경락이라는 또다른 순환계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관이 실제로 경락과 일치하는지 어떤 생리적인 기능을 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게다가 이 관이 경락이라고 해도 때로는 현미경으로 봐야 할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후 수많은 철학자, 사상가는 물론 과학자조차 절대적으로 옳은 무언가를
발견
했다고 장담할 수 있는 것은 존재한 적도 없고, 존재하지도 않는다”며 “절대적인 진리를 추구한다고 스스로를 평가하는 과학자들이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과거에 대한 부정과 미래에 대한 확신”이라고 말했다 ... ...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사실을 알게 됐지. 그동안 내가 고민했던 잡다한 연구의 결론을 찾게 된 거지.프랙탈을
발견
한 후 나의 연구는 가속도가 붙었다네. 바로 새로운 공간과 차원을 정의했지. 사실 내가 논문을 발표하기 이전에 소수(또는 분수) 차원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제시됐네. 독일의 수학자 펠릭스 하우스도르프에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초산을 넣으면 불순물을 크게 줄이면서 생산 효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을
발견
하고 이 내용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이 방법은 120℃의 고온에서 합성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 방법에 비해 상온에 가까운 40℃에서도 그래핀 합성이 가능해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현재 합성 ...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없다.연구팀은 올해 1월 지구 가까이 접근한 소행성을 조사하던 중 소행성 ‘P/2010 A2’를
발견
했다. 처음에는 혜성인 줄 알았지만, 본체에서 떨어져나오는 파편의 궤적을 조사한 결과 소행성임이 드러났다.연구팀은 파편이 생긴 원인을 소행성의 충돌이라고 생각하고 소행성의 크기와 궤도를 역으로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빛의 소용돌이가 강한 에너지를 형성하면서 그 안에 물질을 담을 수도 있다는 사실이
발견
됐기 때문이다. 일종의 빛으로 만든 그릇인 셈이다. 이 그릇을 다른 곳으로 옮길 수도 있다. 아직은 작은 나노 입자를 겨우 지탱하는 정도지만, 연구가 진행되면 DNA 조각과 같은 생체 분자를 몸 속 깊은 곳으로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