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저녁의 황혼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화성/사자자리에서 처녀자리로 옮겨가고 밝기는 2.
0
등급이다.목성/방향이 태양과 너무 근접해 이달에는 볼 수 없다. 17일이 합(지구 태양 목성의 순서로 놓이게 되는 때)이다.토성/
0
.4등급으로 염소자리에서 보인다.이달의 유성우더운 여름 밤은 유성우를 관측하기에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1
0
급 정도 실력의 맥이 두번 이겨 우승했다. 맥은 지난해 보다 2급 정도 기력이 향상됐다."1
0
년 이내에 컴퓨터가 인간을 이길 수 있다"고 장담하는 그는 앞으로도 전공공부를 하는 틈틈이 바둑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 킬 것이라고 말한다. 컴퓨터바둑의 세계수준은 지난해 우승자 '골리앗' ... ...
신소재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도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중 상당량이 열로 변해 손실되는데 초전도현상은 저항이 거의
0
에 가깝게 되는 현상이다. 이렇게 되면 전류 손실이 전혀 없이 1
00
%를 송전할 수 있다. 또 전류가 흐르는 도선주위에는 자기장이 형성되므로 강력한 초전도 자석을 이용, 자기부상열차를 만드는데 이용할 수 있다 ... ...
3 건물배치도 훌륭한 소음대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주철제관으로 대체하는 방안 등이 있다.또한 급수음의 경우 가구내 급수압력이 2.
0
㎏/㎠ 이하가 되도록 유지하는 급수 공급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아울러 급수기구나 위생기구류는 저소음형의 제품을 이용하도록 한다.인접세대간 음성 및 TV음의 전달경로는 경계벽만이 아니고 인접창문 및 벽체 ... ...
화성에 있음직한 생명체 지구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들어 있었다. 그후 계속된 연구를 통해 그는 그 유기체들이 질소와 이산화탄소 같
0
|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기체들을 흡수하고 있음을 밝혀냈다.NASA의 생물학자들은 로스실드가 발견한 박테리아를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고 있다. 그들은 이 박테리아가 바자의 암영층에서 발견된데 착안, 극히 짠 ... ...
차세대원전 「몬주」 내년 1
0
월 점화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입장이다. 영국 독일 이탈리아도 상업로 건설계획을 백지화했다. 소련만이 상업로 BN8
00
의 건설에 착수하는 등 순조롭게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고속증식로 실용화의 승패는 세계 원자력이용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은하수 한 가운데 걸터 앉아 있어 성운을 찾는 좋은 관측지표다. 이 별자리는 169
0
년 폴란드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가 '작은여우와 거위'란 이름을 붙였다. 헤벨리우스는 이곳에 두 마리의 독수리(독수리자리와 거문고자리)와 대등한 육식 동물을 넣기 위해 여우를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과학재단이 지원하는 수백만달러의 연구비를 바탕으로 장기 생태연구 프로젝트가 197
0
년대부터 수행돼 오고 있다. 연구진은 조지아대학과 플로리다대학의 연구인력으로 구성돼 있고, 환경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자 지리학자 지질학자 환경공학자 자원경제학자 등이 학제적인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 ... ...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대화를 못할 정도면 소리가 너무 크다고 생각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볼륨 수준을 1
0
단계로 나눌 때 4이하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헤드폰을 몇시간 사용하고 나서 다른 사람의 말을 알아 듣기 어려우면 청각장애가 발생한 것이며 이어폰을 낀 뒤 귀울림이 난다면 심각하므로 빨리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엄청난 전투기가 비행사의 멀미와 함께 추락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2
0
세기 후반에 이르러 우주시대가 열리자 이번에는 멀미가 우주비행사의 자질을 가름하게 되었다. NASA가 멀미연구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도 신종병인 우주멀미가 계획에 큰 차질을 주었기 때문이다.그런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