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셔터 속도로 찍으면 된다.필름에 찍히는 달의 크기는 대체로 렌즈 초점거리의 약1/
100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필름상에 달의 크기가 10-15mm정도가 돼야 보기 좋으므로 망원경의 초점거리는 1천-1천5백mm이면 적당하다.실제 촬영에서는 대기의 투명도 등 감광되는 요소가 많기 때문에,기준 값으로부터 ... ...
키와 몸무게의 함수관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체중이라고 하는데,여자의 경우 105를 빼기도 한다.우리나라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모두
100
을 뺀다.예를 들어 키가 160cm이고 몸무게가 50kg인 사람의 표준 비만도는 약93이다.다음 표는 이렇게 구한 표준 비만도를 수치에 따라 분류한 표다.30세 넘으면 1년에 0.06cm씩 키가 줄어신체의 일부를 이용해서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것일까?유전자는 인간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존재다. 물론 유전자가 한 인간을
100
% 결정하지 않으며, 또 특정 유전물질이 있다고 해서 곧바로 그러한 특질이 발현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유전자에 내재되지 않은 특질이 인간에게 발현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피부색과 연관된 유전자에 ... ...
잘못된 머피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두쪽 다 합해봐야 8백㎠내외이므로 정말로 망치가 내 발등에 떨어질 확률은 (800 / 13,000) x
100
≒ 6%가 된다. 이 결과값은 일반적으로 거의 발생하기 어려운 확률이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이런 비합리적인 주장들을 너그럽게 수용하는 것일까.모든 확률은 통계자료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좀더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않고, 복잡한 양상을 띨 수 있다. 예를 들면 y=1/x²이라는 방정식에서 x=0.1일 때 y값은
100
이지만, x=0.11일 때 y값은 82.64이다. 만약 x값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면 y값이 무려 17.35나 달라지게 된다. 이런 일이 여러 번 계속된다면 y값은 전혀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이처럼 비선형 항에 의해 변수 ... ...
세계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목표물에 접근하면 목표물에서 반사된 전파를 잡아 미사일에 정보를 줌으로써 거의
100
%의 명중률을 자랑한다. 또한 이지스함은 적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추었다. 이처럼 위력적인 이지스함은 현재 1대당 가격이 8천억원정도로 고가다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몸에 열이 나고 기침을 하면 감기이다”는 규칙이 꼭
100
% 정확히 맞아야 할 필요는 없다.두뇌를 모방한 컴퓨터, 신경망인공지능의 초창기에 개발된 논리적 추론이나 전문가시스템의 추론 기법은 주로 기호를 바탕으로 이뤄진다는 특징이 있다. 즉 기호를 사용해 ... ...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문장 부호 등도 어느 정도 인식할 수 있다.세가지 번역 방식자동번역기에서 번역률
100
%는 없다. 엘엔아이소프트 채흥석 개발실장은 “인공지능이 아닌 이상 기계 번역의 한계는 85%”라고 말한다. 문화적 맥락이 다른 두 개의 언어를 서로 완전하게 뜻이 통하도록
100
% 번역하는 일은 번역의 달인이라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규형의 끝이 백각환에서 지시하는 곳이 바로 태양의 위치이며 이때 백각환 위에는 12시와
100
각을 그려 놓았기 때문에 태양의 위치에 맞는 시각을 읽을 수 있다. 밤에는 각 계절에 정해진 시각에 남중하는 별(중성)을 측정하면 시각을 알 수 있다.지금까지 간의의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 ...
망원경으로 엿본 은하마을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약 2도 위치를 살펴보자. 여기에는 처녀자리 은하단 속에서 가장 큰 나선은하 M
100
이 있다. 사진에서 보듯이 은하는 Sc형의 정면나선은하이다. 나선팔의 두께는 3천 광년으로 우리은하의 2배에 달하며, 지름 11만 광년으로 우리은하보다 조금 더 큰 규모이다. 하지만 실제 망원경으로 보이는 모습은 표면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