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뉴스
"
공동
"(으)로 총 10,596건 검색되었습니다.
극지방 추워지면 열대 태평양 무역풍 세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강사라 도시환경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국 하와이대 연구팀과
공동
연구로 극지방에 냉각효과를 주는 기후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 이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기후모델 시뮬레이션에서 ... ...
불꺼진 사무실 홀로 돌아다니며 스스로 소독하는 똑똑한 ‘방역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자동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20일 한국과학기자협회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공동
으로 주최한 ‘코로나19 관련 세미나’에서 김강건 KIST 지능로봇연구단 선임연구원은 ‘자율주행 및 방역 목표 자동인식이 가능한 KIST 방역 로봇’ ‘AIDBOT(AI Disinfection Robot)’을 소개했다. 김강건 ... ...
혈관질환 줄기세포 치료제 체내 이동 관찰하고 효능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은 김광명 테라그노시스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문성환 T&R바이오팹 박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혈관내피 전구세포의 체내 이식 후 초기 분포 및 이동을 형광 영상으로 추적하고 치료 효능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최근 혈액 공급에 문제가 생겨 부분적으로 ... ...
“5~8월 중순 ‘깜깜이 코로나 환자’가 확진자보다 일평균 6.2배”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예측이 가능한 분석이다. 한국과학기자협회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20일
공동
으로 주최한 ‘코로나19 관련 세미나’에 발표자로 나선 김찬수 KIST 계산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과 방역 정책의 과학적 근거 마련 시뮬레이션’을 주제로 이같은 분석결과를 내놨다. 김찬수 ... ...
코로나19 확진자와 2~3미터 내 접촉자 신속하게 파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위한 협의를 진행중이다. 20일 한국과학기자협회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공동
으로 주최한 ‘코로나19 관련 세미나’에서 이택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센서시스템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를 위한 위치정보 기반 개인 동선 파악 기술을 소개하고 적용 ... ...
[코로나19 연구속보] “믿을 수 없는 과학의 이정표” 코로나19 백신 결과 업데이트
2020.11.21
예방 효과가 떨어진다는 일각의 염려를 일축해버린 셈이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가
공동
으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관련 신규 업데이트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지난 18일 미국 과학저널 '사이언스'가 전했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는 ‘백신의 효능이 90%를 넘었다’는 지난 9일 모호한 내용의 ... ...
"미국 코로나19 주요 진원지는 육류가공공장" 7월까지 31만명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분석이 나온다. 찰스 테일러 미국 컬럼비아대 국제대학원 연구원팀은 시카고대와
공동
으로 미국 내 육류가공공장과 7월까지 발생한 코로나19 환자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19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미국 전역의 소규모 ... ...
[기자의 눈]정부기관이 움켜쥔 코로나19 예측 정보 시민들에게 돌려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결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지난 8월부터 구글과 미국 하버드대 글로벌보건연구소와
공동
으로 운영하고 있는 예측 사이트가 대표적인 사례다. 구글은 AI로 확진자 수를 예측할 뿐 아니라 최선과 최악의 사례도 함께 제공한다. 미국 내 주별 환자 예측과 병상, 호흡기 수 예측도 공개한다. 이달 1 ... ...
후쿠시마 오염 방출 분석 논문 보니 1~10년내 영향…전문가들 "방류영향 예측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일본 연구팀이 지난해 8월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흘러나온 세슘137이 해류를 타고 이동하며 일부는 동해로 흘러 들었다. 2012~2016년 동중국해에서 흘러 들어온 세슘137은 총 210조 Bq로 추정된다. 이는 같은 기간 후쿠시마 주변 아열대 수괴지역에 방류된 세슘137의 ... ...
한미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온도와 힘 느끼는 인공피부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가까워졌다. 정운룡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제난 바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하나의 구조만으로 온도와 힘 두가지를 서로의 간섭 없이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성 이온 전자피부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이달 2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일자에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