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수 있다.]최근에는 증거물에 빛을 쏴 지문이 있는 곳과 없는 곳을 구별하는 장비가
개발
됐다. 모든 사물은 자기가 좋아하는 파장의 빛만 흡수한 뒤 특정 파장의 형광을 발산한다. 이를 이용하면 원하는 물질만 선택적으로 형광을 내게 할 수 있다. 반사자외선영상장치(RUVIS)로 ‘파장이 짧은’ 자외선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언제쯤 초전도 기술을 이용한 제품이 일상적으로 쓰이게 될까요?DAPAS사업에서
개발
한 초전도 전력기기의 검증이 끝난 뒤에는 수요가 급속히 증가할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향후 5년 뒤부터 시작돼 10년 뒤에는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도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캄보디아는 현재 준 전시상태다. 태국과의 국경지역에서 11세기 힌두교 사원 ‘프레아 비히어’를 두고 양국이 지난 2월 4일부터 교전을 벌인 뒤 교착상태에 빠져 ... 봉사를 강화하려면 기존의 봉사와 차별화된, 다양한 과학교육 콘텐츠와 교구를 더 많이
개발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효모 인공포자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연구진이
개발
했다. 효모를 이용해 진단이나 유해물질 검출에 쓰이는 ‘바이오센서’를
개발
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어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화학회지(JACS)’ 3월 9일자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KAIST 화학과 최인성 교수팀은 홍합의 접착단백질을 이루는 물질인 도파민이 효모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가슴 깊이 그 사실을 실감할 수 있었다.유리 가가린의 우주비행 50주년. 이제 겨우 우주
개발
을 시작한 우리에게는 참 부러운 기념일이다. 언젠가 한 선배님께서, 수년간 꾸준히 우표를 모아온 사람을 우표 수집가라고 말하지 남이 수십 년 수집한 우표를 통째로 사서 장식장에 전시한 사람을 ... ...
산호초의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이런 가운데 산호초의 ‘바이탈 사인(활력 징후)’을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
돼 화제가 되고 있다.미국 마이애미대 크리스 랭던 교수는 지난 2009년부터 푸에르토 리코의 ‘카요 엔리케’ 산호초에서 생태계의 생산성을 감시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연구팀은 산호초 위에 있는 바닷물을 ... ...
사람마다 살찌는 부위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사람마다 살찌는 부위가 다른 이유가 과학적으로 규명됐다. 영국 에든버러대 심혈관센터의 닉 모튼 교수팀은 “사람마다 살찌는 부위가 다른 이유는 11β-HSD1이라는 단백질의 농도 ... 연구팀이 단백질의 농도를 낮출 수 있는 천연물을 찾아 내장비만을 예방하는 상품을
개발
할 계획이다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분자수준에서 조작할 수 있는 분자 생물학 기술이 미국을 중심으로 해서 본격적으로
개발
되기 시작했다. 게링 박사는 최신 학문을 배우기 위해 미국 예일대로 떠났다.미국에서 첨단 기법을 습득한 그는 1972년 스위스 바젤대 생명과학센터에 교수로 부임해 돌연변이 초파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 ...
책 속에서 꿈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어. 전자기기에도 화학이 필요하고, 의료 기술에도 화학이 필요해. 대체 연료를
개발
하는 데서도 화학이 적용돼. 그렇게 많은 분야가 있기 때문에 화학이 더 재미있는 거야. 화학을 연구해서 인류에 뭔가 의미있는 성과를 남겨놓고 가겠다는 큰 포부를 가져보렴. 그런 생각을 갖고 임하면 네 미래가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만들려면 마이크로파가 아닌, ‘팸토초 모드록 레이저’라는 특정한 빛을 내는 레이저를
개발
해야 한다. 이 빛을 원자에 쏘여주며 빛의 파장을 원자의 고유진동수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시간을 맞출 수 있다. 차세대 원자시계가 ‘광시계’라고 불리는 이유다.표준연 시간센터에서도 이런 연구를 ...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