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병의 근원 감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미국의 세균학자 리차드 쇼프의 의해 발견됐다. 그는 감기에 걸린 돼지의 분비물을 다른
동물
에 발라 항체실험한 후, 돼지의 독감(인플루엔자)이 바이러스 때문에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감기는 바이러스와 세균 때문에 생긴다. 특히 세균보다 바이러스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 영국의 ... ...
선조들의 지혜 숯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담궈도 독 입가에 금줄을 쳤다. 서낭당 등의 정성을 들이는 곳에도 금줄을 쳤다.아기나
동물
이 태어나면 방문이나 대문에 금줄을 친 것은 잡귀의 접근을 막는다는 의미가 있었다고 한다. 새끼의 엉성한 티끌이 귀신의 목에 걸리기 때문에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그러나 금줄에는 ... ...
엄마손은 약손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사람들의 사랑 확인 절차가
동물
의 털손질 행위에서 발전된 것이라고 주장한 적이 있다.
동물
은 서로 털손질을 해 주면서 질병에 감염되는 것을 막는다. 그런데 인간은 털손질 행위를 서로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방법으로까지 발전시켰다. 인간은 서로의 몸을 손질해 주면서 깨끗이 하는 것과 더불어 ... ...
한민족의 뿌리 알타이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발견됐다.그녀 옆에서는 9마리의 순장된 말과 여러
동물
을 합쳐 하나로 만든 상상 속의
동물
장식이 많이 나왔다. 우리의 불사조와 흡사한 그리핀, 말의 몸에 염소의 뿔을 단 금박 장식품들은 2천5백년 전 사람들의 솜씨라는 게 도무지 믿기지 않는다.귀고리의 생김새와 목관 위에 돌을 덮은 무덤의 ... ...
1. 우주정거장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하나는 지구와 우주 등을 관측하는 일이다.미르에서는 우주비행사 자신들도 식물이나
동물
들과 마찬가지로 실험대상이 된다. 중력이 생물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데 인간을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우주생명과학 연구는 앞으로 인간이 우주에서 활동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 ...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속의
동물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한다.사람만으로 이루어진 '전설적인 창조물' 18세기에 용어 처음 등장서양에서는
동물
의 몸이 전혀 섞이지 않는 사람 괴물을 뜻하는 용어로 '전설적인 창조물'(fabulous creature)이라는 말이 18세기에 처음 사용됐다. 귀가 땅에 닿을 정도로 늘어져 있거나 얼굴이 두개이거나, 아예 얼굴이 없는 사람 ... ...
1.
동물
사회의 지도자 그 카리스마의 비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현명함‘에 많은 감탄과 찬사를 보낸다.흔히 사회적
동물
이라고 알려진 여러 부류의
동물
들은 종마다 무리를 짓고 생활하는 것이 보통이다. 코끼리의 경우도 군데군데 크고 작은 숲이 있고 드넓은 초원이 펼쳐진 사바나지역에서 무리를 지어 살아가고 있다.그러나 코끼리 무리는 대체로 여러 ... ...
자넷 리와 함께하는 당구물리학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그래서 당구공끼리의 충돌은 '완전탄성충돌'에 가깝다. 초창기에는 상아와 같은
동물
의 뼈로 만들었으며, 그 후 종이를 압축해 만들기도 했다. 이제는 값이 싸고 만들기 쉬운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해 만든다.쿠션과 당구대당구대의 각 모서리에 있는 쿠션은 탄력있는 고무 재질로 만들어졌다. ... ...
사람이 풍기는 성적 냄새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면도하거나 향수를 바른다.향수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되었다. 신에게 제물로 바친
동물
을 태울 때 나는 냄새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향을 사용한 것이 그 시초이다. 향수에 대한 인류의 집착은 그 역사가 꽤 길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종교의식에서 많은 양의 향수와 향을 아낌없이 사용했고, 특히 ... ...
80년 후 지구상에 열대우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보호하기 위해서 우리들이 할 수 있는 일이다.지구 최초의 사회적인
동물
이며, 지적인
동물
인 인간은 이제 열대우림의 중요성을 새롭게 자각해야 한다. 사라져가는 열대우림에 대해 우리들이 오늘도 여전히 뒷짐을 진 채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는다면, 더욱 심화된 재앙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