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장담할 수 없는 것이다. 이를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 이론은 아직 없다.1971년 존 오키프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교수는 해마에서 위치를 인지해 기억하는 ‘장소세포’를 발견했다. 이후 현재까지 공간의 배치 상태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격자세포나 경계를 인지하는 세포, 속도를 ... ...
- [과학뉴스]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기존 3D 프린터처럼 한 층씩 쌓아올리는 방식이 아니라, 전체를 통째로 만들어내는 혁신적인 3D 프린터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 표면이 더 매끄럽게 제작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월 31일자에 실렸다.doi: 10.1126/science. ...
- [과학뉴스] GPS 없이 움직이는 ‘개미 로봇’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하는 광센서는 14픽셀에 불과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앤트봇은 5~14m까지 이동했다가 1cm 미만의 정확도로 제 위치로 돌아왔다. 방향의 정확도 오차는 0.4도로 매우 작았다. 이 같은 정확도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의 성능을 능가하는 것이다. 줄리엔 듀페이로우스 엑스마르세이유대 연구원은 ... ...
- [수학뉴스] 꿀벌도 더하기·빼기 이해한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렸습니다.입구에서 파란 점 2개를 본 꿀벌이 파란 점 3개 쪽으로 가면 설탕물을 주고 1개 있는 쪽으로 가면 쓴맛이 나는 퀴닌을 줘서 파란색은 수가 늘어가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학습시켰습니다. 즉, 파란색을 더하기 개념과 연결시킨 거죠. 빼기는 점을 모두 노란색으로 바꾼 뒤 벌이 점의 개수가 ... ...
- 수학 인싸 되는 법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수학? 파티에 웬 수학이지? ▼이어지는 기사를 더 보려면?Intro. 수학 인싸 되는 법Part 1.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 댄스Bridge 디제잉하는 수학 '인싸'들Part 2. 쇼미 더 매스! 수학과 랩의 ...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하는 게 목적이다. 현재 600개 이상의 문제가 올라와 있으며, 2주에 1번씩 새로운 문제가 추가된다.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를 한국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있으니 기사를 읽고 오일러 프로젝트에 참여해 보자 ... ...
- [수학미술관]설탕에 녹아든 달콤한 수학, 슈가플래닛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조합을 한 뒤에 나열하는 순서까지 생각한 경우입니다. 각설탕은 정육면체 모양이므로 1개에서 총 6가지 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각설탕 2개로는 6×6=36개, 3개로는 6×6×6=216개의 단어 조합을 만들 수 있는 것이죠. 같은 방법으로 각설탕 n개로는 6n개 조합을 만들 수 있는 겁니다. 이제 각설탕으로 ... ...
- Part 4. 계주처럼 여럿이 함께 개최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도시에 불과했어요.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연구팀은 2080년엔 역대 동계올림픽 개최지 중 21개 도시는 눈이 충분히 오지 않고, 기온이 따뜻해 동계올림픽을 열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했어요. ● 인터뷰 - 존 레니 쇼트(미국 메릴랜드대학교 교수) 올림픽을 한 곳에서만 개최하는 건 어때요? 점점 많은 ... ...
- [과학뉴스] 10년 만에 솔로 탈출한 멸종위기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덕분에 1년간 볼리비아 숲을 뒤져 3마리의 수컷과 2마리의 암컷을 찾았지요. 이 중 1마리가 로미오의 여자친구가 된 거예요. 프로젝트를 이끈 볼리비아의 코차밤바 자연사박물관장 테레사 카마초는 “환경 오염과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감소해 양서류가 위협을 받고 있다”며 “다른 멸종위기종에도 ... ...
- [과학뉴스] 로봇으로 환생한 오로베이츠 팝스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지난 1월 16일, 독일 훔볼트대학교 존 니야카투라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생물학, 수의학, 로봇공학 등을 결합해 고생대에 살았던 동물 ‘오로베이츠 팝스티’의 걸음걸이를 복원했어요. 오로베이츠 팝스티는 약 2억 9000만 년 전, 고생대 페름기에 살았던 네발 동물로, 물에서 육지로 ... ...
이전5145155165175185195205215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