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389건 검색되었습니다.
[AAAS연례회의]빌 게이츠 "과학적 진보 극적이며 만족스러워…AI·유전자가위 주목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진보가 이뤄낸 결과는 매우 매우 극적입니다. 지금까지의 결과는 매우 만족스러웠고
성공
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과학은 여전히 더 많은 것을 이뤄낼 수 있습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 기조강연에 나서 코비드 ... ...
줄기세포 운반하는 '초소형로봇' 망가진 무릎 고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마이크로로봇 ‘스템셀 네비게이터’를 이용해 토끼의 손상된 무릎 연골을 재생하는 데
성공
했다고 16일 밝혔다. 최근 퇴행성관절염 등으로 손상되는 무릎 연골을 치료하는 데 세포 치료가 활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환자에게 추출한 성체줄기세포나 연골세포 같은 자가유래세포를 무릎을 ... ...
[AAAS연례회의]스티븐 추 "깨끗한 전기 10~20년내 나온다…다른 청정에너지 산업도 자극"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μK)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장치를 개발해 개별 원자의 내부구조를 자세히 밝히는 데
성공
해 199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후 2009년에서 2013년까지 오바마 행정부에서 에너지 장관을 역임하며 신에너지 개발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주창했다. 장관직에서 물러난 뒤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개의 소행성이 합쳐진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NASA 제공 인류가 가장 먼 곳에서 탐사에
성공
한 태양계 외곽 천체인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가 두 소행성이 부드럽게 뭉쳐서 형성된 것으로 분석됐다. 아로코스를 발견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뉴허라이즌스’호 연구팀은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어떤 변수가 또 나타날지 모르니 긴장을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천리안 2B호의 발사가
성공
적으로 이뤄지면 2011년부터 이어진 긴 여정이 일단락된다. 최 단장은 “1년 전에 발사된 천리안 2A호를 통해 태풍의 이동 경로를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고, 이런 성과를 보며 뿌듯함을 느낀다”며 “70~8 ... ...
물고기 사냥하는 뱀
팝뉴스
l
2020.02.14
내렸다. 그리고는 물고기 한 마리를 물어 올린다. 커다란 메기 한 마리를 낚아 올리는 데
성공
했다. 뱀은 스스로 낚싯줄 역할을 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물론 이빨은 낚시 바늘 기능을 했다. 조용히 기다렸다가 순식간에 물고기를 낚아챈 것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사진 속 뱀의 지능이 상당히 ... ...
‘방·단 갑옷’ 입은 태양 극지 탐사선, 600도 고열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수성 간 거리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거리다. 용광로와 같은 태양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성공
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려면 600도가 넘는 고열을 견뎌야 한다. 수성은 태양에 가장 근접할 때 태양과의 거리가 약 4600만km로 이때 수성 표면은 430도까지 올라간다. 납을 녹일 수 있을 정도의 뜨거운 온도다 ... ...
모든 교통정보 LED로 전달 ‘싸인텔레콤’···‘산업융합선도기업’으로 날개 달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이미 기술력을 인정받아 상당히 높은 점수를 받고 선정됐다”며 “저희가 아니어도
성공
할 회사였겠지만 생기원이 마련한 중기부 우수조달 공공조달시장 혜택을 통해 싸인텔레콤의 매출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박경용 산업융합기반실장이 산업융합 선도기업 사업과 혜택에 대해서 ... ...
노트르담 '그때의 울림' 다시 느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지금은 벽 일부만 남은 요크의 세인트 메리 대성당의 16세기 음향을 되살려내는 데
성공
했다. 고문헌을 토대로 구조를 예측한 후 이를 시뮬레이션에 대입해 과거의 잔향을 되살린 것이다. 2015년에는 잔향을 마이크에 적용한 음악회를 열어 관객들에게 중세 시대의 음악을 되돌려주기도 했다. ... ...
테이프처럼 붙이는 복합산화물 박막 제조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떼어낼 수 있다. 이를 활용해 연구팀은 1㎠ 크기의 박막을 기판에서 분리하는 데
성공
했다. 기판에서 떼어낸 박막은 소재를 받칠 지지대가 없는 ‘프리스탠딩’ 상태가 된다. 이 상태의 박막은 유연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소재와 결합할 수 있다. 떼어 붙이는 복합산화물 박막의 모습이다. 연구팀은 ...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