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스페셜
"
시간
"(으)로 총 5,715건 검색되었습니다.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
KISTI
l
2015.11.14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수여했다. 한만춘 박사가 별세한 지 약 30년. 강산이 3번 바뀔
시간
이지만 그의 발자취는 아직도 길이 남아있다. 그중 하나가 그를 기리는 후학들이 조직한 ‘춘강 한만춘 교수 기념사업회’다. 춘강 한만춘 교수 기념사업회는 ‘춘강학술상’을 제정해 전기 및 전자공학 분야 ... ...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갈대습지는 한때 죽음의 호수라고 불린 적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생명이 북적였다.
시간
의 힘 때문만은 아니었다. 한때 자연을 거슬러서 재앙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던 시화호는 원래의 모습으로 조금씩 다가가고 있다. 그 이면에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음은 물론이다. 죽음의 호수를 ... ...
백년대계가 낳은 값진 열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 물론 이처럼 저비용 고효율 구조가 정상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과학계는
시간
과 인력, 비용을 투입한 만큼 결과를 내는 곳이기 때문이다. 적은 비용으로 수준 높은 성과를 얻었다면 무언가는 포기했다는 뜻이다. 한국형 해양예측모델의 경우에는 포기한 것이 바로 해상도였다. 그 결과 ... ...
국산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 착공으로 연구개발 가속화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장인성 단장은 “배터리가 필요 없이 전기와 유압으로 구동되는 ROV는
시간
에 무관하게 쓸 수 있다”며 “수중건설로봇도 ROV 형태로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수중건설로봇사업단은 유영식 ROV와 트랙기반 수중로봇 등 총 3가지 종류의 수중건설로봇을 연구 개발하는데, 유영식 ROV는 중성 부력을 ... ...
“깨끗한 바다를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상대적으로 장기, 대형 과제의 연구비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오랜
시간
이 필요하거나 실패 가능성이 높지만 활용가치가 큰 기술을 개발하기가 어려운 편입니다. 산업분야의 환경도 아직 무르익지는 않은 것 같아요. 아직까지 경제계에서 환경산업에 보이는 관심은 높지 않은 것 ... ...
태평양 한가운데 삶의 현장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와서 눈으로 해양생물을 보고 궁금한 점은 박사님께 직접 여쭤볼 수 있어서 정말 값진
시간
이었다”며 “연구원 생활은 내가 꿈꿔온 미래 그대로다”라고 말했다. 최 군은 최 연구원의 노트에 “박사님은 제 롤모델이에요. 나중에 꼭 다시 봬요”라고 적었다 ... ...
”누구나 편리하게 위성자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커버하면서 호주 쪽에서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요. 그에 비해 중국과의 협력은 아직
시간
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우선 연구데이터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어야 제대로 된 협력연구가 가능할 테니까요. 해양위성연구센터의 역할이 대중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여러 연구기관이나 ... ...
바다의 총천연색 속살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정보를 수집하여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위성해양학은 넓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최단
시간
내에 제공하기 때문에 ‘운용해양학’의 주요 구성요소로도 꼽힌다. 운용해양학이란 바다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데 필요한 연구를 말한다. 바다를 잘 활용하려면 효율적으로 정보를 얻고 활용해야 하기 ... ...
“10년이 넘는 기간의 자료를 집대성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대구의 회유경로에 대한 연구를 올해부터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재학 위원이 오랜
시간
을 보낸 KIOST가 곧 부산으로 보금자리를 옮긴다. 이번에 발간한 화보집은 이사를 준비하면서 새로운 둥지의 사전조사이자, 이재학 위원 개인에게는 연구인생이 담긴 공간이 떠나가는 데 대한 환송이기도 하다.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3] KSTAR의 극저온냉각장치에 대해 알아보자
2015.11.11
만들 수 있는 가장 차가운 온도인 –268℃의 그릇이 마침내 준비되었습니다. ※ 다음
시간
에는 본격적인 플라즈마 실험 전 마지막 단계인 초전도 자석 운전을 비롯한 전원 운전에 대한 내용과 함께 KSTAR 장치 실험의 여정을 이어갑니다 ...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