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된 경종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자이로스코프가 어떤 방향으로 회전하든 모든 방향에서 똑같이 행동했으며 어떤 조건
아래
서든 눈에 띄는 무게 손실이 없었다고 보고했다. 또 하나의 잘못된 경종이다.이 모든 것은 어떤 놀라운 과학적 발견도 참일 수 없음을 뜻하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때때로 어떤 과학자는 전혀 뜻하지 않은 ... ...
FDA가 인정한 새로운 AIDS치료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허용 하기로 결정했다. 그래서 제조를 담당한 브리스톨 메이어스 제약회사는 FDA의 감시
아래
곧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실제로 이 신약은 지난 7개월간 8천여명의 AIDS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3백90명의 환자가 숨졌는데, 이 정도면 놀라운 효능을 보인 것으로 ... ...
로마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대성당,라테란 요한대성당,성모마리아대성당이다.A.D.67년경 베드로사도는 바티칸 언덕
아래
에 있었던 네로황제 경기장에서 거꾸로 십자가에 매달린 채 순교했다. 그의 시신은 바티칸공동묘지에 안장됐는데 A.D.326년에 콘스탄티누스대제가 이 사도의 무덤위에 성 베드로대성당을 지었다. 그후 여러 ... ...
과학기술 해외교류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북방외교의 결실로 동구권과 과학기술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올해를 '과학기술외교 원년'으로 천명한 우리나라의 해외교류 현황을 알아본다. ... "동서독장벽은 결국 과학기술에 의한 경제격차때문에 무너졌고 물흐르듯이 위에서
아래
로 흘러 마침내 독일의 동질성을 회복하지 않겠는가. ... ...
마이크로의 세계로 인도하는 셈(SEM)과 템(TEM)의 나상(裸像)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역할을 한다. 현미경의 배율은 이 주사면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함으로써 결정된다. 가장
아래
있는 대물렌즈는 시편에 초점을 맺게 한다. 시편과 대물렌즈와의 작업거리가 짧을수록 분해능은 좋아진다. 반면 초점심도는 얕아지고 관찰면적도 좁아 진다. 따라서 면적이 넓고 요철이 심한 시편을 관찰할 ... ...
파충류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등지에 살고 있다. 그들의 몸길이는 1.5~7.5m. 앨리게이터와 다른 점은 입을 다물 때
아래
턱 네번째 이빨이 보인다는 점이다.1속 1종만이 남아 있는 가비알류는 인도 북동부 네팔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에 분포하며, 몸길이는 5~5.5m 정도다. 이 놈은 주둥이가 훨씬 길어 다른 악어류와 쉽게 구분된다 ... ...
PART Ⅱ HDTV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전자산업 회생의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는 미국은 국방부와 상무부의 지원
아래
제니스 IBM 모토롤라 등 내노라하는 전자거인 17개업체가 공동으로 콘소시엄을 결성해 HDTV개발을 서두르고 있다.ACTV방식의 특징은 1억6천만대가 넘는 기존TV수상기를 갖고도 HDTV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것. ... ...
PART 3 세계의 첨단로봇 총집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연결돼 있다. ■우주개발용 로봇우주에서는 로봇 팔이 현재 맹활약 중이다.
아래
사진은 STS-7(7번째 우주왕복비행)의 원격 매니퓰레이터 시스템인 RMS다. 이 로봇 팔의 사용으로 인공위성의 회수나 수리 또는 지상에서 우주로의 운반이 용이해지게 되었다.이 팔은 캐나다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 ...
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眼下腺) 서혜선(鼠蹊腺) 제간선(蹄間腺) 등이 없다. 반면 염소꼬리가 시작되는 부위 바로
아래
에 냄새를 풍기는 미하선(尾下腺)이 있다.숫염소는 언제나 당당하고 엄숙하며 암컷보다 대담하고 용감하다. 또 양은 젊을 때만 기운차지만 염소는 나이를 먹어도 생명력이 왕성하다.체형은 품종에 따라 ... ...
대덕시대 들어선 KAIS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전을 가장 반기는 곳이 과기대다. 과기대는 과학기술원의 학사과정을 맡는다는 취지
아래
설립됐으나 그동안 지역적으로 떨어져 별도의 조직으로 운영돼 왔다.과기대는 과학기술원과의 실질적인 통합을 통해 비로소 대학다운 면모를 갖추게 됐다. 통합하는 방식은 과(科)별 통합을 원칙으로 한다. ... ...
이전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