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제개발협회
개발
국제
협회
국제경쟁력
경쟁력
경제
d라이브러리
"
국제경제
"(으)로 총 845건 검색되었습니다.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02
1만 5천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KAIST. KAIST맨들은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창업을 한 사장님이 있는가 하면 연구소에 남아 기술연구에 매진하는 사람도 있다. 각계에 퍼져있는 KAIST맨들을 찾아봤다.(주)메디슨 대표이사 이민화 뿌린씨앗을 거두는 마음으로공학도라면 석사졸업 후 기업에서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02
KAIST는 과학한국의 주역이 되기 위해 제 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주마가편이라던가. 잘 달리는 KAIST에게 더욱 갈 달리기를 바라면서 졸업생들이 가하는 채찍질을 들어본다. 고객중심의 연구교육이 필요 명 문유헌KAIST를 졸업한지 올해로 벌써 1년 모자란 20년이 된다.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후 지 ... ...
자동차 안에서 PC통신 즐긴다
과학동아
l
199602
초고속 정보통신망 사업이 본격화되는 올해는 우리 생활 곳곳에서 '달라진 세상' 이 발견될 것이다. 디지털방식의 고품질 이동전화(CDMA), 경제적인 발신전용 무선전화, 노트북 무선통신 등의 서비스가 개시된다.정보사회의 도래와 함께 통신수단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통신 ... ...
6 MSN 출현, 전세계 PC통신업계 긴장
과학동아
l
199512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온라인을 무기로 세계정복에 나섰다. 미국 법무부의 반독점법 위반조사와 관련업계의 끈질긴 반발 끝에 '마이크로소프트네트워크'(MSN)가 지난 8월말 윈도95의 발표와 더불어 공식 출범했다.윈도95환경에서 몇 번의 마우스 동작만으로 인터넷 등 국제컴퓨터 통신망 및 하이텔 등 ... ...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
과학동아
l
199512
나라마다 위성개발의 메카가 있다. 미국의 NASA, 프랑스의 CNES, 일본의 NASDA, 그리고 한국에는 항공우주연구소가 있다. 항공우주연구소가 어떤 일을 하는 지 알아보자.1957년 10월4일 인류 역사상 최초의 인공위성이 발사됐다. 지름 58㎝, 무게 83.6㎏인 이 인공위성은 R-7 로켓을 타고 우주궤도에 올라가 ... ...
Ⅰ 하이테크에서 하이컬처로 최대의 만족감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199511
투박하고 사용하기 불편해도 '튼튼하기만 하면 좋다'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이제 이런 도구는 더이상 무의미하다. 개인의 특성까지도 이해하고 쾌적감을 제공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 것이다. 기계와 환경이 인간에게 최대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감성공학이 새롭게 주목받는 이유가 바 ... ...
비타민 8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09
비타민. 동물의 신진대사에 없어서는 안되지만 너무 많이 섭취해도 탈을 일으키는 영양소다. 이러한 비타민의 존재가 알려진 것은 20세기 들어서다. 종류도 많고 효능도 제각각인 비타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본다.1 비타민의 이름은 어떻게 지었나불치병으로 여겨졌던 많은 질환들이 생체에 특별 ... ...
5 전세계 단일권 이동통신 꿈꾼다
과학동아
l
199508
1세대에 이은 다음 세대의 방송통신위성은 어떤 모습일까. 지구 저궤도에 수십개의 위성이 뒤덮여 음성·데이터는 물론 영상통신까지도 전지구가 하나로 묶이는 단일권 이동통신망이 형성된다. 오는 8월3일 국내 최초의 상용위성인 무궁화호가 발사되면 우리나라도 세계 23번째 위성보유국이 된다. ... ...
3 서울-부산서 얼굴보며 회의
과학동아
l
199508
전국을 단일통신망으로 엮는 동시에 화상회의 등 고품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과거 10년간 광케이블이 세계 도처에 확산돼 네트워크와 전송매체로 각광을 받으면서 위성서비스 수요가 감소하리라고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했다. 그러나 오늘날 위성통신은 국제간 지역간 국가내의 여러 ... ...
인공위성 실패확률 어느 정도인가
과학동아
l
199508
우주환경은 거칠다. 인공위성 발사에서 궤도 진입, 그리고 정상가동까지 도처에 복병이 도사리고 있다.많은 사람들은 인공위성을 발사하면 당연히 원하는 곳에 가서 제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그렇게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의외로 실패하는 사례가 많다. 굳이 1986년 7명의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