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러시아어
d라이브러리
"
러시아말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끓는 기름과 달군 쇠로 병원균을 죽여라!
과학동아
l
200105
독자 앞에 영화 ‘백 투 더 퓨처’에서 본 타임머신 자동차가 놓여 있다고 가정하자. 호기심이 발동한 독자는 시간을 5백년 전으로 맞추고 과거로의 여행을 시작한다. 잠시 충격에 휩싸였다가 정신을 차려보니 영화에서나 본 듯한 세상이 펼쳐져 있다. 진짜로 5백년 전으로 날아온 것인지 의문을 가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05
멀고 먼 우주에는 생명체가 있을까. 그리고 인간은 그 우주를 삶의 터전으로 꾸며낼 수 있을까. 영화‘레드 플래닛’은 우주, 그 중에서도 화성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과 동경을 그려낸 작품이다. 지난 4월 14일 오전 11시에 시작한 방담회에는 매스컴에 잘 알려진 한국우주환경과학연구소의 조경철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04
“박사님, 이건 우리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비방인데요…”라고 하면서 요즘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의 정혁 단장(46)을 만나러 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강원도 산골짜기에 사는 한 농민은 ‘헛개’라 불리는 나무의 열매를 달여 먹으면 숙취 해소에 그만이라 하고, 경기도 동두천의 한 건 ... ...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요!
과학동아
l
200104
이 책의 원제는‘Surely You're Joking, Mr.Feynman!’(Bantam Books, 1985)으로, 파인만과함께 드럼을 치던 오랜 친구 랄프 레이튼이 구술형태로그의 삶의 단면들을 정리한 책이다. 여기엔 한 천재 물리학자의 명성 뒤에 숨겨진 진솔한 인생 이야기가 담겨있다. 출간된 이래 미국과 전세계에서 10여년 간 베스트 ... ...
우주탐험의 지상관문 세계의 우주센터
과학동아
l
200104
비행기로 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주로 공항을 이용하듯이 우주관련 SF물을 보면 우주여행을 떠나고 도착하는 지구기지가 흔히 나온다. 앞으로‘우주시대’인 21세기에는 우주여행이 보편화될 전망이다. 달 이외의 행성에까지 사람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구에서 우주로 여행을 떠날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
과학동아
l
200104
영화‘하얀 전쟁’에서 이경영은 전쟁을 연상시키는 작은 단서만으로도 공포와 불안을 느끼는 전쟁후 증후군 환자 역할을 실감나게 연기한다. 정신적 스트레스가 뇌의 생리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전쟁후 증후군이 사람들의 관심 반열에 등장하게 되는데….20세기는 ... ...
미르 추락 계기로 본 인공위성의 최후
과학동아
l
200102
오는 3월초 말도 많고 탈도 많던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가 태평양에 수장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미르 15년의 역사와 함께 지구 주위를 도는 수많은 인공위성의 최후를 살펴보자.그들은 지구로 떨어지거나 일정한 우주공간에 버려진다고 하는데…. ...
목소리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시대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02
멋진 여자가 자동차를 몰고 가는 중에 갑자기“우리~집”이라고 외친다. 그러자 휴대전화가 연결되면서 그녀의 집 쪽에서 전화를 받고 어머니 목소리가 들린다. 자동차 옆자리에서 그녀가 전화로 통화하는 모습을 지켜보던 남자가 이를 보고 무척 놀라워한다.몇년 전 한 이동통신회사의 광고내용 ... ...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
과학동아
l
200101
북한에도 남한의 과학고에 해당하는 최고의 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기관이 있다. 제1고등중학교가 바로 그것이다. 여기서는 과학영재를 어떻게 발굴해서 교육시키는 것일까.매년 북한에서는 이맘때가 되면 남한의 서울대에 해당하는 김일성종합대학에서 '과학경연대회'가 열린다. 마치 남한에서의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11
최근 10년간 우리 생활에 불어닥친 인터넷과 이동통신의 혁명이 이뤄질 수 있었던 기반은 어디에서 왔을까.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그 기반이 바로 물리학이었음을 말해준다. 이종접합구조(hetero-junction structure)라는 새로운 반도체 구조를 이용해 고속전자학과 광전자학을 발전시킨 러시아 이오페 연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