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대"(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약 마찰이 없다면?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손을 비비면 손바닥 사이의 마찰로 열이 생긴다.자동차가 급정거할 때 길바닥에 흉하게 만들어지는 바퀴 자국도 마찰에 의한 것이다.마찰의 본질은 무엇일까.그리고 마찰이 없어진다면 어떤 세상이 될까.'마찰'이라는 말에 대한 느낌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하다. “마찰 때문에 에너지를 잃어버린다 ...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앙부일구들이 만들어진 것을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금 덕수궁 궁중유물 전시관, 고려대 박물관, 성신여대 박물관, 기상청 등에 남아있는 앙부일구들은 대부분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것들이다. 이처럼 조선시대에 광범위하게 만들어지고 쓰였던 앙부일구를 과학사학자 전상운 ... ...
- 피라컵 세계 로봇 축구대회 한국 우승과학동아 l1999년 09호
- 8월 9일 브라질 캄피나스에서 6개국 14개팀이 참가한 피라(FIRA) 로봇월드컵에서 우리나라 고려대의 로보티스(하인용, 김병수)팀이 우승했다. 로봇 3대가 한팀을 이뤄 가로 1.3m 세로 1.5m의 경기장에서 전후반 각각 5분씩 경기를 벌이는 피라컵에서 로보티스팀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우승함으로써 2연패를 ...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안되며 최대산소섭취량(1분간 1kg의 신체가 받아들이는 산소의 양)도 해수면의 40% 정도다. 고려대 체육교육과 김기형 교수에 따르면, 5천2백m보다 높은 곳에서는 아무리 오래 머물러도 고소적응이 되지 않으며 신체의 건강상태가 나빠질 뿐이라고 한다. 충분한 식량과 장비를 가지고 있더라도 8천m의 ... ...
- 2. 망가진 생체리듬이 병을 부른다과학동아 l1999년 08호
- 하루의 생체리듬이 깨지면 생활이 유지될 리 없다. 일에 대한 의욕이 사라지고 잠도 제때 오지 않아 날밤을 새우는 일이 허다하다. 심한 경우 병원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우울증에 시달리기도 한다.생체리듬이 깨지면 이를 다시 복원하기란 쉽지 않다. 딱히 어떤 치료책을 써야 할지 난감한게 사실 ...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과학동아 l1999년 06호
- 단층을 말한다. 그런데 단층이 활성이냐 아니냐의 기준은 다소 다양하다.이진한교수(고려대 지질학과)는 “활성단층의 정의는 학술적인 정의와 산업적인 정의로 구분된다”고 말한다. 이교수에 따르면 학술적인 의미에서의 활성단층은 최근 1백만년 이내에 1회 지진활동이 있었던 단층이다. 규모가 ...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6. 의학물리학자 유돈식과학동아 l1999년 06호
- 때문이다. 또 실시간으로 정보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도 필요하다. 물리학과(고려대) 출신인 그가 다양한 분야의 책을 뒤적이고 사람을 만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X선 발견 1백년, X선 컴퓨터 단층촬영(CT) 30년, MRI가 등장한지는 15년이 됐다. 인류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과학기술에 가속도가 ... ...
-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의 날과학동아 l1999년 05호
- 독립운동가 여운형(1886-1947), 동아일보 사장 송진우(1889-1945), 보성전문(현 고려대) 교장 김성수(1891-1955), 이화여전 교수 김활란(1899-1970) 등 당시 내로라하는 1백여명의 사람들이 참여한 ‘과학지식보급회’가 7월 5일 서울 공평동 태서관에서 결성됐다. 이후 과학지식보급회는 발명학회에서 운영하던 ... ...
-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과학동아 l1998년 11호
- 방한기간 중 한국물리학회 총회에서 강연하고, 한국검출기연구소 개소식에 참가했다.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검출기 연구에 바친 나의 일생’에 대한 주제로 강연했다. 샤르팍 교수는 앞으로 한국검출기연구소의 자문위원으로 힉스입자 발견에 크게 도움을 줄 예정이다 ...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과학동아 l1998년 11호
- 몇명 끼어 있었다. 2005년 완성될 가속기에 핵심 부품으로 쓰일 검출기를 제작한 고려대 박성근교수팀이 바로 그들이다. 혹시 문제는 없을까. 이들은 검출기를 시험 가동하느라 교대로 24시간 눈을 떼지 않았다. 이들은 그토록 열정을 쏟고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바로 미지의 입자 ‘힉스’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