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희
즐거움
희열
행복
환락
희락
쾌락
d라이브러리
"
기쁨
"(으)로 총 57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요즈음은 흔하고 또 호도같은 열매들은 한 해를 기다려 온 보람을 느끼게 한다.이러한
기쁨
은 수학자들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이런 과일들이 상점에 쌓여 있거나 상자에 들어있는 것을 보는 순간 과일의 맛과 함께 관심을 끄는 것이 또 하나 있다. 수학자는 상점 앞에서 어떻게 하면 상자안에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형태의 문제가 나오면 어렵다고 야단들이다. 한 문제를 며칠 걸려서라도 해결하면
기쁨
을 맛볼 수 있고 참 지식이 되지만, 답을 보고 읽어가는 공부는 노는 것만 못하다.아무쪼록 스스로 길러서, 스스로 요리하고, 스스로 소화하는 공부를 할 것을 부탁한다. 특히 시간 여유가 있는 저학년 ... ...
인류의 남자조상은 아프리카 피그미족?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아닌 과학적 설명으로 인류의 조상 아프리카인 이브가 처음으로 등장하게 됐다. 하지만
기쁨
을 함께 나눌 동반자가 없다면 이브의 국제적인 명성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과학자들은 곧 남자조상 아담을 찾는 일에 열중했고 이제 한 프랑스인 유전학자가 그 결과를 발표하게 된 것이다."인류의 남자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맞대기도 하고 손을 맞잡기도 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인사를 한다. 화를 내거나
기쁨
두려움 슬픔 등의 감정을 사람과 비슷하게 얼굴표정으로 나타낸다.(3) ② 독수리는 토끼 다람쥐 새 새끼사슴 등을 사냥하는 육식성 새로 주둥이는 굵고 끝이 날카롭게 구부러져 있다. 발가락도 강하고 날카로운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다녔다. 최근에는 눈이 나빠져 목성의 줄무늬조차 분별하기 어려워졌지만 별을 헤는
기쁨
은 더욱 깊어만 간다고 한다.김씨가 제작하고 있는 4인치 반사망원경은 일본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그만큼 정성을 다해 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17만원 밖에 받지 않지만 어떤 때는 한개를 만드는 데 4, 5일 ... ...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자축하듯 요란한 웃음소리를 낸다. 그리고 군침을 삼키면서 먹이에 접근한다. 그러나 이
기쁨
도 순식간에 사라지고 만다. 어느 틈에 아프리카 초원의 왕인 사자가 어슬렁거리며 다가와 하이에나가 애써 잡은 먹이를 가로채 버리기 때문이다. 사자의 출현에 놀란 하이에나는 한쪽 옆으로 피신, 양보의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노인네로부터 "당신덕분에 60평생 처음으로 나비알 구경했다"는 소리를 들을 때의
기쁨
때문에 앞으로 계속 셔터를 눌러댈 작정이다. 집 주위에다 워낙 꽃을 많이 심어놔 나비들이 이씨 집 주위로 한번 날아오면 한시간 이상은 체류한다. 일하다가도 아이들이 새로운 종류의 나비가 날아들었다고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라는 말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덮어놓고 외우게하는 우리의 교육현장은
기쁨
은 커녕 고통을 안겨주고 있는 셈이다. 언젠가 중학교 입시 문제를 교과서 중심으로 출제한다는 문교부의 방침 때문에 학생들이 계산문제의 답을 외우는 웃지못할 난센스가 빚어진 적이 있었다. 학생들이 ... ...
이달에 만난 아마추어천문가 신혜성 발견 꿈꾸는 조상호씨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아마추어천문은 관측. 학문적 성격도 강하다.아마추어천문은 등산이나 낚시처럼 즐기는
기쁨
도 제공하지만 학문적 성격도 강하며 보다 '생산적'이라고 주장한다. 신혜성이나 소행성을 발견한 사람중 아마추어가 상당수이며, 전세계적으로 아마추어천문가들의 관측데이터가 없었다면 천문학은 ... ...
금년도 대학입시를 치르고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해답의 풀이보다 더 간단하고 좋은 풀이방법을 발견한 적도 있었다. 이럴 때는 학문의
기쁨
을 느끼기도 했다.기본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통계부분을 공부할 때 특히 절실히 느낄 수 있었다. 수험생이라면 다 아는 사실이듯이, 교과서의 통계부분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