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초"(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 엘리베이터 안에서 지상을 향해 찍은 것이다. 이곳에서 더 내려간 지하 1100m에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이 암흑물질을 찾기 위해 설치 예정인 입자 검출기 공사가 한창이다. 11월 6일 국내 언론 최초로 현장을 찾았다. 이곳은 현재 철광이 운영 중이다. 철광에 가본 것은 처음이었다.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다시 가르친다”며 “물론 여기서 수학은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1학년 때 기초 과학 과목을 수강하고 나면, 유기화학, 물리화학, 공학생물, 공정유체역학, 열 및 물질전달 등의 전공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이론뿐만 아니라 각종 실험도 병행해 배운다. 김 학부장은 “전공필수 과목의 이름에서 ...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문제는 일반적으로 순수 기초과학은 응용과학에 비해 연구비를 따기 어렵다는 점이다. 1년 중 4분의 3에 이르는 기간을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보내야 한다는 점 또한 연구비를 지원받는 데 걸림돌이 된다. 기존의 실험실 위주의 연구비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특징은 자체 개발한 ‘미래형 교육과정’이다. 수학을 예로 들면, 특정 주제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배운 뒤 그에 대한 산출물을 만드는 프로젝트 수업이 한 학기 동안 이뤄진다. 올해 1학기의 경우 테셀레이션에 대해 배운 뒤 학생들이 모둠을 구성해 테셀레이션 개념을 활용한 공작물 등을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뇌공학은 화학, 생물학, 공학 등 여러 분야가 접목된 학문인 만큼, 다양한 과목을 배우며 기초를 다지는 데는 화학생물공학부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과학고에서 조기졸업을 한 윤 씨는 2학년 때 3학년 과정까지 모두 공부했다. 그는 “시간이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그만큼 더 ... ...
- 2018 노벨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효소와 항체 생산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과학자 3명에게 수여됐다.올해 노벨 과학상은 기초과학 연구를 통해 의료, 소재, 에너지 등 산업 분야에서 빛을 발했다는 공통점이 있다.또 역대 최고령 수상자와 여성 수상자 2명을 배출하며 화제를 모았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와 특별한 인연이 있는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왜 하느냐는 사람들에게 성 수석연구위원의 이런 조언을 전하고 싶다. 심폐지구력과 기초대사량을 늘려주고 우울증까지 날려 보내는 달리기.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신이 내린 운동’이 아닐까.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보길 적극 추천한다. ● 그 男자의 마라톤 - 역시 운동은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산업공학과는 공대 내 다른 학과보다 들어야 하는 필수 교양 과목이 많다. 글쓰기의 기초, 말하기와 토론, 과학과 기술 글쓰기 등 3개 과목은 필수로 수강해야 한다. 모두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관련된 과목이다. 홍 학과장은 “산업공학과는 과의 특성상 특정 분야에만 뛰어난 학생보다는 골고루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권리가 있다는 ‘동물권’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동물의 복지 확대 등 동물권 운동의 기초가 되는 개념인데, 이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동물원과 동물에 대한 인식을 바꿔나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에서는 2016년 5월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 지난 해 5월 30일부터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원하는 스타트업 연구비를 지원 받았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안정적인 지원 덕분에 기초 연구를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노벨상 수상과 같은 좋은 성과를 이루려면 과학자들이 개인의 단기 성과보다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연구를 추구할 수 있는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