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김 교수는 “뇌 겉면의 대뇌피질은 다양한 촉각과 시각 등 감각을 수용한다”며 “대뇌피질에 심는 신경전극의 신호를 조절해 감각을 발생시키거나 억제하면 연상기억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팀은 신경전극 시스템을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같은 연상기억 장애를 ... ...
- [10대의 약] 봄 꽃가루가 '악마'로... 알레르기 비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만듭니다. 심하면 입이 마르거나 변비도 나타나죠. 반면 2세대 항히스타민제는 혈액뇌관문을 거의 통과하지 않아 졸리게 만들지 않습니다. 세티리진, 로라타딘, 펙소페나딘 등의 성분이 있으며, 광고에 많이 나오는 ‘지르텍’이 바로 세티리진 성분의 약입니다. 그렇다면 먹으면 졸리는 약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시각세포가 지치기 때문이에요. 같은 색깔의 자극을 오랫동안 받아 지친 시각세포는 뇌로 그 색의 신호를 덜 보내게 돼요. 그러면 원래의 색과 반대인 보색 잔상이 나타난답니다. 석회 동굴에 가본 적이 있나요? 웅장한 종유석과 석순이 치렁치렁 늘어진 멋진 광경을 볼 수 있죠. 석회 동굴처럼 ... ...
- [과학뉴스]트라우마, 시각 자극으로 지운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안구운동과 주의집중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뇌 영역인 상구는 공포기억을 감소시키는 중앙 내측 시상핵과 연결돼있다.연구팀은 EMDR이 두 영역 사이의 활동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공포반응을 관장하는 편도체의 활동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연구에는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기억을 만드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한다. 이 교수는 “얼마나 많은 시간이 흘러야 뇌에 새겨지는 기억과 감정에 대한 비밀을 완전히 풀 수 있을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영화의 결말은 궁금증으로 남겨두고, 영화에서 줄곧 던지는 질문으로 잠깐 되돌아가보자. 질병이나 사고로 고통 받는 ... ...
- [수학뉴스] 모래 더미에서 발견된 프랙털수학동아 l2019년 03호
- 프랙털 구조’가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지진 규모와 인간의 뇌 기능, 경제 현상 예측 같은 현실 세계 문제를 연구하는데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
- [수학뉴스] 꿀벌도 더하기·빼기 이해한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알아맞혔습니다. 연구를 이끈 스칼렛 하워드 연구원은 “인간 외에도 다양한 동물의 뇌가 복잡한 수학 개념을 그들이 가진 언어로 이해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월 6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약 5%가 콩팥 위 부신에서 만들어지는데, 스테로이드가 꾸준히 외부에서 들어오면 뇌는 더 이상 고환과 부신에 테스토스테론을 생성하라는 명령을 내리지 않는다. 임 교수는 “체내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높아지면서 남성성은 증가하지만 고환이 수축되고 정자 수가 감소해 생식력은 떨어진다”고 ...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결과물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 책은 1985년 미국에서 처음 발간된 이후 전 세계 뇌과학, 인공지능 분야 학자들의 필독서로 알려진 ‘The Society of Mind’의 최초 한국어 완역본이다. 인공지능은 물론 인지과학, 심리철학 분야에도 강력한 영향을 끼친 저자의 통찰이 담겨있다.인공지능에 대한 ... ...
- [과학뉴스] 모기, 10m 떨어진 목소리도 듣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모기와 10m 떨어진 위치에서 여러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하고, 동시에 모기의 뇌 부분에 전극장치를 붙여 청각신경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을 기록했다. 그 결과 이집트숲모기는 150~500Hz의 주파수, 평균 31데시벨(dB) 크기의 소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사람은 일반적으로 200~1000Hz, 45~70dB의 소리를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