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막"(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스터리 1. 모래 없는 얼음 사막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한랭사막 : 강수량이 적고 일 년 내내 얼음이 얼어있는 지역을 영구빙설사막, 마찬가지로 여름을 제외하고 모든 계절 얼어 있는 툰드라지역을 툰드라사막이라고 한다.]내 ... 찾아라!미스터리 1. 모래 없는 얼음 사막미스터리 2. 사막에 사는 특별한 생물미스터리 3. 사막에 나타난 유 ...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실험실을 갖췄고, 숙원이던 동물과 식물의 노화를 비교할 수 있는 연구팀도 꾸렸다.“막 연구를 시작하는 기분입니다. 지금까지는 일종의 연습 과정이었고, 이제는 과학이 무엇인지 조금 알 것 같습니다. 학생들을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도 감이 잡힙니다. 한 사람의 리더가 연구 방향을 정하기보다는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전달효소(α-1, 3 galactosyl transferase)가 있는데, 이 때문에 돼지의 혈관 내피세포의 세포막에는 특이한 당이 존재한다.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는 이 당에 대한 항체를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난다(자연항체). 때문에 돼지의 혈관이 연결된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게 되면 초급성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하셨잖아요. 정말이세요?”로봇의 프로세스는 정신없이 돌아가기 시작했다. 이것이 마지막 질문에 대한 대답인지, 아니면 다른 화제로 넘어간 것인지조차 알 수가 없었다. 저번에 로봇은 분명 윤정에 대해 아름답다고 말하긴 했지만,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이런 반응과 연결되는 것인지 로봇은 ...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딥마인드의 CEO이자 알파고 개발자인 데미스 하사비스 박사는 “인공지능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된 거나 마찬가지”라며, “인공지능이 사람을 지배하는 수준까지 진화하려면 아주 긴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미래의 삶은 인공지능 집사와 함께?이제 인공지능은 바둑뿐만 아니라 기사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활성산소는 노화와 퇴행성 질환의 주범으로 꼽힌다(4파트).4단계 양성자는 에너지를 싣고막 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양성자는 미토콘드리아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런 양성자가 들어오는 힘을 이용해 ATP 합성효소를 돌려, ADP를 ATP로 바꾼다. ATP는 세포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품고 있다.미토콘드리아는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일어난다. 사진 속 표본도 침철석 결정이 종유석 형태로 자라면서 표면에 얇은 막을 만들었고, 그 덕분에 영롱한 무지갯빛 아름다움을 뽐낼 수 있게 됐다. 지구와 태양계 역사의 증인침철석은 화성 표면에 물이 흘렀음을 증명하는 광물이기도 하다. 2004년 1월 4일 화성에 착륙한 화성탐사선 스피릿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치료제 효과 예측 등 의료 목적에만 국한돼있다. 오남용과 과대광고 등의 부정적 효과를 막기 위해서다. 결국기자도 이번에 하플로그룹을 확인하는 데 실패했다.오는 7월부터 개정된 생명윤리법이 시행돼 콜레스테롤, 혈당, 탈모, 피부탄력 등 일부 헬스케어 분야에서 유전자 검사가 일반인에게도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속 선생님 ‘콴다’ QandA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보지 않고, 학생의 취약점 데이터를 모으는 데이터머신으로 이용한다.매스프레소는 이제 막 1년이 지난 스타트업 기업이다. 아직은 충분한 데이터를 쌓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짧은 기간에 이룬 성과도 큰 만큼 앞으로 해낼 일이 더 기대되는 기업이다. 벌써부터 매스프레소가 만들어낼 다음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들은 미토콘드리아 DNA가 들어오기 이전에 세포에 들어와 골지체와 소포체 등 세포 내막의 형성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된 에너지 생성 유전자는 진핵세포의 외부 유전자 중 가장 늦게 들어온 축이었다. 시간순서로 볼 때 미토콘드리아가 진핵세포에 들어올 때 이미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