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 항공 우주국"(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정상 생활을 하는 걸 목표로 한답니다.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인공 동면 기술 ‘콜드 슬립’을 연구하고 있어요. 2030년쯤 화성에 우주인을 보내는 유인탐사에 사용할 계획이지요. 우주인은 화성까지 가는 180일 동안 잠을 자며 링거를 통해 영양분을 섭취하게 된답니다. 냉동 인간의 원리를 ... ...
- 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경연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열거든요.연구 주제는 매년 달라져요. 작년엔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필요로 하는 수중로봇을 개발하는 것이었고, 올해는 항구도시 롱비치에 필요한 수중로봇을 설계하는 것이 주제였지요. 세부 과제로는 항구를 통해 오가는 물건들을 쉽게 나를 수 있는 하이퍼루프를 만들 수중로봇, 항구 주변의 ...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우주에도 종이접기 로봇이 진출할 예정이랍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종이접기를 모방한 로봇으로 화성을 탐사할 계획을 세우고 있어요. 이 로봇의 이름은 ‘복어’를 뜻하는 ‘PUFFER’로, ‘Pop-Up Flat Folding Explorer Robot(몸을 접어서 납작하게 만들 수 있는 탐사 로봇)’이라는 정식 명칭에서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분석하면 어떤 모기인지 구분할 수 있어요.한편,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도 ‘글로브 옵서버(Globe Observer)’ 앱을 통해 모기 서식지 지도를 작성하는 시민과학을 시작 했어요. 시민들은 동네에 살고 있는 모기의 유충을 찍어 앱에 올리면 돼요. 그럼 이 정보를 모아 전세계 모기 서식지 지도를 작성하고, ... ...
- Part 1. [탐사일지] 태양 탐사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리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파이어니어 계획’을 실행했지요. 이때 달 탐사를 시작으로 여러 행성과 태양에 탐사선을 보냈는데, 1959년 발사한 ‘파이어니어 5호’가 최초의 태양 탐사선이에요. 그리고 NASA는 1965년부터 1968년까지 1년 간격으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는 연료 무게만 해도 상당하니까요.그래서 미국 항공우주국은 좀 더 개량된 식물재배장치(APH)를 실험하고 있어요. APH는 빨강, 파랑, 초록색, 흰색 LED와 적외선 빛을 이용해요. 게다가 기존 식물재배장치보다 4배 정도 강한 빛으로 식물이 더욱 빠르게 자라도록 하지요.또한 APH는 자동화된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화성 표면과 유사, 하와이판 화성 기지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하와이 빅아일랜드 마우나로아 지역에 화성 모의기지를 짓고 매년 지원자를 모집해 화성인의 생활을 시뮬레이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일명 ‘하와이 우주탐사 아날로그 및 시뮬레이션 탐사 프로젝트(HI-SEAS)’. ‘마션 인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신인간이 버린 해양 쓰레기는 늘어났어요.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25년까지 해양 쓰레기 총량이 무려 1억 5500만 톤에 달할 것이라 예측했어요. 이 정도면 전세계 해안을 따라 두께 30cm, 높이 30m의 쓰레기 벽을 쌓을 수 있는 규모랍니다.그 결과 최근 1~2년 사이, 해양 ... ...
- [과학뉴스] 35억 년 전 달에 두꺼운 대기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결과가 나왔다. 데브라 니담, 데이비드 크링 미국항공우주국(NASA) 달및행성연구소 박사팀은 30억~40억년 전 달의 화산 폭발로 인해 분출된 가스의 양을 계산했다. 그 결과 가스가 우주로 휘발되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달 표면으로 분출되면서 일시적으로 달 주변에 대기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감마선 폭발이 관측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리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운용하는 허블망원경이 2013년 이런 특성을 갖는 감마선 폭발체(GRB130603B)를 실제로 관측하면서 킬로노바의 존재가 확인됐다. 그러나 반쪽 짜리 결과였다. 킬로노바의 광학 현상과 감마선 폭발의 관련성만 봤을 뿐, 이론이 제안한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