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비례해 커지고, 그만큼 데이터 송수신 속도는 느려진다. 전파 신호가 행성 지표면에서
반사
돼 추가 손실이 생기기도 한다. 구름이나 수증기, 전자기차폐영역을 통과할 때는 신호 강도만 줄어드는 게 아니라 왜곡까지 생긴다. 정보를 한 번에 보내기엔 장애물이 너무 많다. 징검다리를 놓아야 한다.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향해 음파를 직각으로 쏘는 ‘음향측심법’이 개발됐다. 음파를 쏜 다음 바다 밑에서
반사
돼 돌아오는 시간을 재고, 그 시간의 절반과 음파의 속도를 곱하면 수심을 알 수 있다.1990년 이후부터는 음파 여러 발을 부채꼴 모양으로 동시에 발사해 한 번에 넓은 지역의 수심을 얻는 멀티빔을 쓰고 있다.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빛을
반사
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당분간은 하트의 크기가 점점 더 줄어들 전망이다.하트 지형을 방문할 때는 숨은그림 찾듯 크레이터를 찾아보자. ... ...
박쥐가 알려 주는 교통사고 방지 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동시에 날아다니면서도 서로 부딪히지 않을 수 있는 거죠.방법은 간단해요. 우리는
반사
된 초음파가 돌아오는 시간에 따라 다른 박쥐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거든요. 그 뒤 날갯짓을 4~5번 할 동안 다른 박쥐가 날아가는 방향을 알아내고, 날아갈 방향을 다른 쪽으로 바꿀 수도 있답니다.그런데 혹시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향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포물선의 초점에서 나온 빛은 포물면에
반사
돼 포물선의 축에 평행하게 멀리 잘 뻗어나갈 수 있다.우여곡절 끝에 세상에 알려진 전파천문학은 후대의 과학자, 수학자가 정리하고 발전시켜 지금은 우주 공간 곳곳을 연구하는 데 쓰인다. 만약 한 청년이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파장의 빛들을 포함합니다. 즉 몸에 쪼이면 각각의 빛이 피부에
반사
되면서
반사
광 ‘메아리’를 만들어냅니다. 이걸 분석하면 피부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알아낼 수 있겠죠. 두고 보세요. X선 한 가지 빛만 이용하는 컴퓨터단층촬영(CT)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할 기술입니다. 그밖에도 빛 ... ...
거대 마젤란망원경, 설계 끝 건설 시작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GMT)이 본격적인 제작에 들어갔다. 지름이 8.4m, 무게가 17t인 거대한
반사
경 7장을 벌집 모양으로 연결해 만든 GMT는 허블우주망원경보다(HST)보다 10배나 선명한 영상을 얻어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6월 3일 GMT의 최종 설계 이미지를 공개하면서 2024년 정상 가동을 목표로 건설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 ...
카멜레온 피부색 변화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노란색이나 빨간색 피부를 갖게 된다는 걸 알아낸 거예요.연구팀은 적외선을
반사
하는 또 다른 피부층도 발견했어요. 이 피부층은 더운 지방의 뜨거운 열로부터 카멜레온의 몸을 보호하는 방패 역할을 한다고 해요. 연구팀은 앞으로 홍색소포층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무늬 변화가 일어나는지 연구할 ... ...
반사
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그 과정을 직접 보니 정말 뿌듯하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우주광학센터에서 깎은
반사
경들이 보여줄 새로운 지구와 우주의 모습을 함께 기대해 봐요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사람 수에 따라 신호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 WIFI 신호가 사람 몸에 닿으면
반사
파가 생성돼 원래 신호와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관측한 것이다.연구팀은 이 현상으로부터 사람 수를 역으로 추정하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실내외에서 실험한 결과 최대 9명까지 정확하게 판별할 수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