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기사"(으)로 총 1,53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플라스마는 판타스틱하다” 플라스마 엔지니어들은 흔히 플라스마가 기막히게 좋은 굉장한 물질 상태이며, 기상천외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이유는 이렇다. 플라스마는 그동안 기체를 사용하던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 기체와 달리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알파고는 컴퓨터과학의 대표적인 미해결 문제인 P-NP 문제에서 우회로를 제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감히 시도하지 못했던 복잡한 문제에까지 인공지능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아질 거예요.”한보형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말했다. P-NP 문제는 1971년 미국의 전산학자 스티븐 쿡이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과학 분야에 ‘재현성 논쟁’이 뜨겁다. 과학 전반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로, 쉽게 볼 수 없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특히 통계 기법의 허점을 악용한 부적격 연구가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2회에 걸쳐 전문가의 칼럼으로 짚어본다. 첫 회는 논쟁의 핵심인 유 ... ...
- [Editor’s note] 인공지능 수학자는 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세돌과 알파고, 세기의 바둑 대결로 온 나라가 시끌벅적했습니다. 바둑의 ‘바’ 자도 모르는 저도 몇 시간 동안이나 중계를 보는데 하나도 지루하지 않더라고요. 반상 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 건지 알 수는 없어도, 해설진의 한 마디 한 마디에 가슴이 두근거렸습니다. 이 대결 덕분에 바둑에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식물이 선택한 생존전략 중 하나는 바로 ‘아름다운 꽃 피우기’다. 형형색색 아름다운 꽃들 사이에서 더 크고 아름답거나 향기로운 꽃을 피워 곤충을 불러들이는 것이다.식물 중에서도 가장 진화한 종자식물만이 꽃을 피운다. 소나무와 참나무 같은 겉씨식물의 꽃은 열매와 비슷해서 잘 보이지 않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게임은 인공지능이 참여할 수 있는 것 중 가장 목표가 명확하고 결과를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분야다. 때문에 인공지능 연구가 처음 시작된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게임 인공지능에 도전했다. 처음에는 두 사람이 번갈아가면서 직접 플레이하는 보드게임이 주된 공략대상이었다.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플라스마의 개념이 정립된 건 19세기 후반이지만, 응용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시점은 그로부터 수십 년이 지난 1960년대부터다. 수소폭탄 개발에 성공한 선진국들이 이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핵융합 연구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물질을 플라스마 상태로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충격의 3연패전 세계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첫 대국 결과는 예상을 뒤엎고 알파고의 승리로 끝났다. 이세돌 9단의 승리를 예측했던 것과 다르게 경기는 팽팽하게 진행됐다. 알파고는 5개월 전 유럽 바둑 챔피언 판후이 5단과 대결할 때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이세돌 9단의 패배가 확실해지자 행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예순 아홉. 일흔. 아, 더 없나? 이러면 안되는데….”3월 9일 광화문 포시즌스호텔 6층.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결이 펼쳐지는 대국실과 복도 하나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 기자실에 모인 수백 명의 기자들이 웅성거렸다. 해설을 맡은 김성룡 9단은 바둑판의 집을 세고는 이마에 손을 가져다 대며 혼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매우 흥미로운 이벤트!(Very Interesting Event!)”.2015년 9월 14일 저녁. 필자는 e메일 한 통을 확인했다. 라이고-버고 연구단의 분석팀원인 마르코 드라고(Marco Drago)에게서 온 메일이었다. 메일에는 중력파로 추정되는 신호를 발견했다는 흥분 섞인 메시지가 담겨있었다. 한국중력파연구단의 일원으로,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