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개성 넘치는 요리사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마지막 에디터노트는 편집부 소개로 채워볼까 합니다. 여러분들에게 매달 따끈따끈 하고 맛있는 기사를 제공하는, 개성 넘치는 과학동아의 요리사들입니다. 이영혜 부편집장은 과학동아의 기둥입니다. 과학기자 13년 경력 중 절반 이상을 과학동아에 몸담은, 누구보다 깊이있고 품격있는 과학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것만큼 지적으로 흥분되는 일은 없다. 힉스 입자가 그 길을 열어주고 있다. ※필자소개. 박성찬.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 서울대 물리학과에서 여분차원의 물리현상학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코넬대, 일본 도쿄대 우주물리수학연구소(IPMU)에서 연구했으며 2010년 일본 소립자물리학회가 ... ...
- [논문탐독] 화석이 보여주는 탄생의 자세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때문에, 고생물학자들은 배아 화석이 알에서 발견될 때마다 매우 기뻐합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논문은 예외적인 수준으로 보존 상태가 매우 좋은 공룡알과 배아 화석을 다룹니다. 배아 화석도 발생 초기 단계면 약간의 뼈만 남아 있을 뿐 정보량이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보고된 화석은 배아 ... ...
-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과학잡지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실제 기획회의와 ‘전지적 독자위원회’ 투표 등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 대해서도 상세히 소개됐다. 학생들은 다양한 질문을 쏟아냈다. 정규 수업이 끝나고 시작된 강의는 해가 저물 때까지 이어졌다. “기사가 잘 읽히게끔 쓰는 방법은 뭔가요?” (일단 문장을 짧게 짧게 써보세요) “논문을 읽고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생물종 미션 중 관찰한 나비 기록을 올려주었어요.서울, 충북, 그리고 제주에서 발견한 각양각색의 나비들이 참 아름다워요.생태 연구원이 지사탐 대원의 질문에 답해주는 [궁금해요] 코너도 놓치지 마세요.지구사랑탐사대 10기 대원들이 만난 다양한 생물들! 지금 확인해 ... ...
- 어린이 능력고사 정답을 공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지난 5월 1일 자 어린이날 특집 기사에 소개되었던 ‘어린이 능력고사’의 정답을 공개합니다!5월 1일부터 22일까지, 총 290명의 어과동 독자들이 인터넷에 올라온 어린이 능력고사를 풀고, 자신의 생각을 들려주었어요. 어과동 독자가 가장 존경하는 인물은 누구였을까요?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과학동아 l2022년 12호
- ’DK 브레이킹 바운더리스는 지난 70년간 빠르게 한계에 다다른 지구 환경 요소를 하나씩 소개한다. 폭염과 폭우 같은 현상을 넘어 기후변화에 대한 총체적인 과학지식과 마주하며 우리는 지금의 내가 현명하지 않다는 걸 인정할 수밖에 없다. 어떤 동물도 살고 있는 집을 파괴하지 않기 때문이다 ... ...
- [5년 후 과학] 나만의 맞춤 구름 모바일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클라우드 기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필자소개.송재승. 세종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1996년 연세대 환경과학과, 2000년 서강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2002년에 컴퓨터공학 석사학위를 서강대에서 받았다. 2008년까지 LG전자에서 휴대폰 개발 및 모바일 기술 ... ...
- [매스펀랜드]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문제를 뽑아 소개합니다. 매스펀랜드에 실린 문제는 노원수학문화관의 이달의 문제에 소개되고, 문제를 출제한 회원은 가 뽑은 MVP로 선정됩니다. 여러분도 그 주인공이 되고 싶다면 홈페이지→[매스펀]→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에 문제를 올려주세요 ... ...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않으세요?”김유리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는 초롱초롱 빛나는 눈으로 연구 분야를 소개했다. 9월 27일, 분자후성유전학 연구실에서 유전체 구조 및 항상성 연구를 하는 김 교수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났다.김 교수는 이미징 기술과 단백질공학을 이용해 핵 안에 있는 3차원 구조의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