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수"(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정규 소수와 비정규 소수로 나눴다. 100 이하의 소수 중 37, 59,67만 빼고는 모두 정규 소수다.]1957년 일본인 수학자 타니야마 유타카와 시무라 고로는 ‘모든 타원방정식은 모듈 형태와 하나씩 대응되는 관계다’라는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을 떠올렸다. 이들은 이 추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받습니다. 학위를 받으니 좋아 보이지만, 이분들이 갈 곳이 없습니다. 반면 영국에선 소수의 인재만이 박사과정에 들어갈 수 있고, 들어간 뒤에는 모두 주력이 됩니다.”국내에 박사급연구자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던 과거에는 식당A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박사급연구자가 많아진 뒤에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국가에서 섭씨온도를 온도의 공식 단위로 쓰고 있어요. 화씨는 미국을 비롯한 극소수의 국가에서만 사용하고 있지요. 화씨온도를 보고 몇 ℃인지 혼란스럽더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섭씨온도와 화씨온도(℉)는 서로 바꾸어 계산할 수 있답니다.섭씨온도(℃) = (화씨온도(℉) - 32) ÷ 1.8절대온도라는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콜린스 교수는 “프랑켄슈타인 같은 로봇들이 일으킬 반란이 아니라, 로봇을 소유한 극소수 자본가 계급을 위해 노동이 기술로 대체되는 것이 미래의 진정한 위협”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의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13일, 영국의 최대 국영은행인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가 ... ...
- [Editor’s note] 인공지능 수학자는 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계산이 복잡한 연구를 할 때는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없이 거대소수 같은 것을 찾기는 어렵지요.다만 사람의 창의성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어떨까요? 인공지능도 문제를 스스로 찾아내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아름다운 꽃을 보고 꽃이 피는 과정을 연구해 보려고 할까요? 관측한 중력파를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방법이 있나요?이건 정말 어려운 문제인 것 같아요. 중국의 수학자 이탕 장은 쌍둥이 소수에 관해서 평생 꾸준히 연구하다 결국 풀었어요. 만약 ‘내가 잘하고 있는 건가?’라고 생각하고 중간에 멈춰버렸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중간에 연구를 잘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건 굉장히 힘든 것 같아요.연구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 기능성 운동복기능이 뛰어난 운동복의 원단은 외부로부터는 방수가 잘 되면서(소수성) 옷 안쪽의 땀은 잘 배출하는(친수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도 플라스마 기술이 있다. 물질이 플라스마 상태가 되면 원자들 중 일부가 양이온과 전자로 쪼개지고 일부는 중성입자(라디칼)가 된다(특히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람과 달리, 카두케우스 본사는 죽지 않는다. 마지막 세대는 어떻게 될까. 코쇠에 남은 소수가 죽으며 끝날까, 다른 광산 항성계로 옮겨질까. 아니면 이 항성계를 새로이 개발할까.그가 상관할 바가 아니었다. 삼 세대 뒤라니, 이미 서른을 넘긴 그가 훨씬 먼저 죽을 터였다. 아니, 마키옌데에 있는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반복된다. 바로 웃음이다.웃음은 신비로운 신체 반응이다. 육체적, 정신적으로 상처 입은 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고 웃지 못하는사람은 없다. 모든 문화권에서 웃음이 발견된다. 아기는 언어를 배우기 훨씬 전인 생후 2개월부터 웃는다. 선천적으로 시각과 청각에 장애가 있는 아이도 웃는다. 문화적 ...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큰 수가 어떤 수로 소인수분해되는지 알기가 어렵기 때문이다.소인수분해는 어떤 수를 소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21처럼 작은 수는 3과 7로 소인수분해된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지만, 10자리가 넘어가는 수는 어떤 수로 나눠지는지 계산하는 데 어마어마한 시간이 걸린다.반면에 차세대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