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꽃술
오퍼레이션
절단
인공임신중절수술
인공
임신중절
웅예
d라이브러리
"
수술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난 대장암 관련 유전자에 문제가 있다”며 “아버지도 나도 대장용종이 있어 제거
수술
을 받은 적이 있다”며 “오래 살다 보면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이슨 박사는 “그러나 이런 정보로 인해 공포를 느끼지는 않는다”며 “아무리 완벽한 유전자를 타고나도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었다. 불행 중 다행으로 구조된 생존 장병 가운데 외상 환자는
수술
을 받은 2명을 포함해 6명에 불과했다. 선체에 설치된 미사일 발사관이 날아갈 정도였음에도 부상자가 적은 이유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천안함 침몰 원인이 북한 어뢰라는 ‘대세’에는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논문에 싣고 있다. 특히 식물 표본은 말리는 동안 색과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암술이나
수술
같이 작은 부위까지 기록하는 방법은 세밀화밖에 없다.뼈대에 장기 채우는 메디컬일러스트가슴 양쪽에 폐가 자리하며 주먹만 한 심장이 가운데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그 아래에 길쭉한 ... ...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원하는 시력을 얻을 수 있다.Q4. 교정시력은 얼마나 유지될까 라식이나 라섹 같은
수술
과 달리 각막굴절교정술 렌즈의 효과는 영구적이지 않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이 렌즈를 빼면 즉시 시야가 흐려지는 것처럼, 각막굴절교정술 렌즈를 착용하던 사람도 1~2일 정도 착용을 중단하면 평평해진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살리는 일 정도다. 하지만 시신을 활용하는 사례는 이뿐이 아니다. 머리만 잘라내 성형
수술
실습용으로 이용하기도 하고 시신 부패를 연구하기 위해 땅바닥에 가만히 눕혀 놓기도 한다. 무기를 만들기 위해 다리만 잘라내 총알 관통 실험에 사용하기도 하고, 안전한 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충돌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일반적인 지방흡입
수술
은 지방을 1000ml 정도(4~6kg)만 빼낸다.지방분해주사는 지방흡입
수술
에 거부감을 갖는 사람들을 위해 개발됐다. 얕은 피부층에 조금씩 여러 번에 걸쳐 약물을 주입해 피하지방을 녹인다고 하는데, 메조테라피나 PPC 주사가 대표적인 예다. 팔이나 다리 같은 특정 부위의 지방을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예로 들면서
수술
시 환자 머리 부분의 혈액을 완전히 뽑아 뇌파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
뒤 환자가 임사체험을 경험했다고 주장했다. 뇌파가 나오지 않는 것은 대뇌피질이 기능하지 않는 완전한 뇌사상태를 의미한다.임사체험에 대한 연구는 현재 진행형이다. 영국 사우샘프턴대 샘 파니아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망막 박리
수술
은 레이저 시술이 기존 외과
수술
을 대체할 만큼 독보적이다.하지만
수술
에 적용된 시간이 4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레이저는 직선 방향으로, 직접 조사할 수 있는 부위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종종 거울로 레이저광의 방향을 조절해 더 깊은 환부까지 들여보내기도 ... ...
문화재를 되살려라!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쓰던 허리띠의 금속 부분을 광학현미경으로 확대해 관찰하고 있어. 그런 뒤 붓과
수술
용 칼로 녹과 이물질을 없애게 되지. 이렇게 조심스럽게 작업하기 때문에 때로는 유물 하나를 처리하는 데 몇 년씩 걸리기도 해.세 번째 방 아름다움을 되찾은 숭례문 현판에헴! 드디어 내 방에 왔구나! 설 연휴를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신경세포 사이를 흐르면서 연결성이 생긴다는 주장이다. DTI의 장점은 일단 외과적
수술
이 필요 없고 짧은 시간에 뇌 전체의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DTI 기법의 하나인 ‘물 확산 텐서 자기공명영상법(WDTI, Water Diffusion Tensor MRI)’은 대뇌 속 물 분자들의 확산 정도를 촬영하는데, 물 분자의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