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돼지가 궁금해? 돼지 보러오면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묘기를 할 수 있을 정도예요. 돼지박물관에서는 미니돼지인 해피와 카리스마, 힘순이, 꿀순이, 미스진의 공연을 볼 수 있어요. 이곳에서는 돼지를 절대 때리거나 굶기지 않는답니다. 그래도 사육사 선생님의 손짓을 보거나 말을 듣고 묘기를 부리니 정말 똘똘하지요!미니돼지를 만나고 싶어요!경기 ...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두 주먹을 불끈 쥐고 눈물을 쏟았다. 어떻게 찾은 녹색 낙원인데, 이대로 사라지게 둘 순 없어! 통곡하려는 닥터 그랜마는 어깨를 꼭 잡는 따뜻한 손길에 고개를 들었다. 지구방위 그랜파가 미소 짓고 있었다.“우리가 움직이면 된다네. 자네도 동참할 수 있는 방법이 참 많으이.”“그 방법이 뭔가! ... ...
- 10시 이전, 2시 이후 자외선 샤워 즐기세요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건 지표면에 가장 많이 도달하는 UVA다. 물론 자외선의 에너지는 C, B, A순으로 크다. 단순하게 비교하면 UVC가 가장 해롭지만, 오존층에 100% 흡수된다. UVB는 90%가 흡수된다. UVA는 10% 가량 흡수될 뿐 90%가 지표에 도달한다. 즉 갖고 있는 에너지는 적지만 워낙 많은 양이 지표에 도달하기 때문에 UVA가 더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우선적인 요소만 고려하는 방식이에요.보완적 방식자동차를 살 때 디자인, 안정성, 연비 순으로 중요도를 따진다고 하면 디자인에 가장 가중치를 주고, 연비에 가장 낮은 가중치를 준다. 그리고 A 제품과 B 제품에 점수를 매겨 계산해 더 높은 점수가 나온 제품을 구매한다. A 제품은 0.5×70 + 0.3×50 + 0. ... ...
- INTRO. 상상과 현실, 그 경계에 있는 영화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하게도 그래픽으로 만든 파도가 훨씬 화려하기 때문에 컴퓨터 그래픽이 현실을 따라갈 순 없었던 것. 컴퓨터 그래픽이 비현실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옛날 이야기다. 진짜보다 더 역동적으로 보이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는 진짜와 똑같이 움직이도록 만들되, 그보다는 훨씬 화려하게 ... ...
- [20세기의 수학자] 에미 뇌터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독일 사회체제의 영향이 크다. 1860년대에서 1880년대를 거치면서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순으로 여성의 대학입학이 가능해졌지만, 독일 대학들은 1900년까지도 여성의 대학입학을 허락하지 않았다. 뇌터도 아버지인 막스 뇌터가 에어랑겐 대학의 수학교수였던 덕분에 수학을 일찍 접할 수 있었지만, ... ...
- PART 1. 5색 아빠,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고이 접어두자. 먼저 정말 아이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지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순서다.지난 3월 25일 미국 빙햄턴대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게이 부부가 아이에게 훨씬 엄하다고 한다.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양육 스트레스가 더해져 아이를 훨씬 엄하게 키우기 때문이다. ... ...
- 숭례문 되살린 3D 레이저 스캔과학동아 l2013년 05호
- X, Y, Z 좌푯값으로 이미지를 재구축한다.대상을 스캔할 때 한 번에 모든 부분을 스캔할 순 없다. 빛은 직진하므로 발사한 레이저가 닿지 않는 부분은 측정할 수 없다. 한 대상을 스캔할 때 여러 장소에서 스캔한 자료를 합성해야만 최종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3D스캔, 문화재 해치지 않아요3D스캔은 ... ...
- 새로운 AI 바이러스, 대륙을 떨게 하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나왔다. 환자들이 사람이 아닌 집주변 새로부터 전염됐다는 뜻이다. 하지만 안심할 순 없다. 이 바이러스에 중국인 부부가 함께 감염됐다는 사실이 뒤늦게 전해졌기 때문이다. 부부 사이에서 전염이 일어난 건 아닐까. 강 과장은 “생활방식이 비슷한 부부가 오염된 환경에 함께 노출되면서 새에게 ...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원리가 실험 결과를 설명할지도 모른다. 아니면 2년 전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처럼 단순히 잘못된 실험이거나 잘못된 해석일 수도 있다. 현재로서는 양자역학이나 생각의 힘보다는 그쪽이 훨씬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세상을 뒤집는 결과가 나올지 누가 알랴. 노에틱 사이언스 연구자들의 생각의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